국립감염병연구소 중심 감염병 협의체 구성
위기 상황시 긴급 연구개발 대응체계 마련
[세종=뉴스핌] 신성룡 기자 = 정부가 국가 감염병 연구개발 책임기반 강화을 강화하고 핵심기술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했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14일 정례브리핑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8회 심의회의에서 코로나19 등 신·변종 감염병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포스트 코로나 대비 감염병 연구개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연구진 역시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료=게티이미지뱅크] 2021.09.24 biggerthanseoul@newspim.com |
이번 3차 추진전략은 그간 1~2차 추진전략을 통해 양적투자가 확대됨에 따라 투자효율성 강화가 더욱 중요하다는 진단 아래 추진됐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감염병 연구개발(R&D) 총 투자규모는 1만2864억원으로 주요사업 기준 올해 예산규모는 약 4376억원으로 지난해 3534억원 대비 24.9% 증가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우수성과 현장적용, 백신·치료제 국산화, 방역전략물품 확보, 감염병 보건안보수준 및 대응기술수준 향상을 목표로 4대 추진전략과 13대 중점과제를 제시했다.
4대 추진략은 ▲국가 감염병 R&D 책임기반 강화 ▲감염병 위기 극복 핵심기술 조기 확보 ▲감염병 연구 협력 생태계 확대 ▲전방위 미래 방역체계 구현 등이다.
향후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를 중심으로 감염병 연구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해 R&D 우수성과가 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연계방안을 마련하고 위기상황 시 방역당국 요청에 따른 진단・치료제・백신 등 국가필요 주문형 연구를 최우선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긴급대응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 |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 [자료=질병관리청] 2021.10.14 dragon@newspim.com |
국립보건연구원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NCCP)을 통해 유관부처과 연구기관 77곳에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970건을 분양했다.
활용 목적별로는 백신 및 치료제 연구용 313건, 진단기술 개발용 641건, 기타 융합연구 등 16건이 분양됐다. 변이 유형별로는 주요 변이주(VOC) 489건, 관심 변이주(VOI)는 481건이 분양됐다.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앞으로도 변이주에 대한 자원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분양을 더욱 활성화해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할 방침이다.
권 원장은 "향후 국립감염병연구소를 중심으로 감염병연구기관 협의체를 구축해 시너지를 도모하면서 동시에 R&D 우수성과가 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연계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해당 협의체에는 전체 9개 부·처·청 산하 13개 연구기관 그리고 국제백신연구소 등이 함께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drag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