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협회 'K-블록버스터 글로벌 포럼' 개최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제약·바이오업계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연매출 10억 달러(1조원) 이상을 기록하는 블록버스터 의약품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를 위한 제약바이오기업들의 도전과 정부의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30일 공식 유튜브 계정을 통해 'K-블록버스터 글로벌 포럼'을 열었다.
이날 '왜 지금 K블록버스터인가'를 주제로 기조강연에 나선 송시영 연세대 의대 교수는 "코로나19로 인해 생명과학기술이 삶의 행복만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생명과 존재를 유지시키는 핵심 기술이라는 것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의약품·의료기기 등을 자족할 수 있는 국가저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전 세계가 알게 됐다"며 "향후 3~5년 내 이 분야에서 점핑하지 못하면 국가적으로 위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1970년대 A제약사의 매출은 당시 삼성전자와 비슷했지만 40여년이 지난 현재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은 글로벌 시장 노크를 못하고 있다"며 "작은 내수시장, 높은 수입의존도 등 많은 원인들이 있었지만 중요한 것은 글로벌 경쟁 속에서 범국가적인 체계적 대응이 미흡했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국형 블록버스터 개발 모델' 주제 발표 중인 허경화 대표 [제공=제약바이오협회] |
마찬가지로 내수시장이 작았지만 세계적인 제약사를 배출한 스위스(노바티스, 로슈), 영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사례를 보면 산업 육성을 위해 니즈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법제를 바꾸며 경계를 허무는 오픈 이노베이션을 일찍부터 활성화했다는 설명이다.
또 IPO(기업공개)에 의존하는 대부분의 국내 바이오 창업 기업들과 달리 빅파마들은 벤처창업, 기술이전, M&A(인수합병) 가속화를 통해 성장하며 파이프라인의 초창기 가치 평가를 통해 다양한 블록버스터 개발 생태계를 구축했다는 점도 부연했다.
정부의 투자도 우리나라는 부처별 지원과제가 분산되어 있거나 대부분 대학에 투자되는 반면, 미국은 보건의료 R&D(연구개발) 예산의 약 90%를 국립보건원(NIH)에 투자, 혁신 프로젝트 개발에 집중(10년간 48억 달러 규모)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 한국의 제약바이오산업 잠재력이 용솟음치는 시기에 기회를 놓치면 앞으로는 굉장히 어려워질 것"이라고 당부했다.
한국형 블록버스터 창출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도 제시됐다.
허경화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 대표는 '한국형 블록버스터 개발 모델' 주제 발표에서 "초기단계 기술수출 등에 강점이 있지만 혁신신약의 글로벌 임상과 사업화 성과는 미비했던 국내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신약개발 자본시장의 구조적인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선 신약개발 투자를 위한 자본시장을 ▲정부지원 ▲민간펀드 ▲제약바이오기업 등 세 가지로 구분했을 때 대부분 초기 단계에 R&D·투자 포트폴리오를 집중하고 있거나 임상 후기 R&D 투자에 대한 한계에 부딪혀 기업들이 초기 기술수출에 의존하는 양상이라고 언급했다. 투자 규모는 늘고 있지만 블록버스터 개발을 위해 가장 많은 자금을 투입해야 하는 후기 단계 투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간 기업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형태의 민관 합동형 파트너십(PPP)이 요구되며, 우리나라에도 후기 임상에 집중 투자할 수 있는 약 1조원 규모의 '메가펀드'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경화 대표는 "메가펀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초기 기술수출에서 후기 임상개발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메가펀드를 조성하는 한편 기술의 혁신성 및 사업성을 기반으로 후보를 선별해 국가대표 신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제약바이오기업과 바이오텍은 각자도생 할 것이 아니라 컨소시엄 등을 구성해 뭉치고 기술과 개발 역량의 시너지를 내야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