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화랑 '洄 지키고 싶은 것들' 4월 1일~24일까지 개최
심전 안중식·위창 오세창 등 민족 서화인들 작품 한자리에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전시장으로 들어사자마자 가야금 연주자 황병기(1936~2018)의 '밤의 소리'가 울려펴진다. 한옥에서 보내는 고즈넉한 밤 분위기를 떠올리게 하는 이 연주곡은 황병기가 심전 안중식(1861~1919)의 '성재수간'을 보고 영감을 얻어 탄생한 작품이다. 현대의 가야금 작곡가는 100년 전의 서화에 흠뻑 빠져들어 또 하나의 명작을 남겼다.
갤러리 예화랑은 일제에 탄압받던 시기에 우리 민족 서화를 지키고자 노력한 심전 안중식을 비롯 민족 서화인들의 작품을 선보이는 전시 '洄 지키고 싶은 것들'을 기획했다. '洄 지키고 싶은 것들'은 국내 최초의 근대미술단체인 서화협회가 중앙중학교 강당에서 제1회 서화협회전을 연지 100년이 되는 날인 4월 1일 개막한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심전 안중식의 '성재수간' [사진=예화랑] 2021.03.29 89hklee@newspim.com |
서화는 글과 그림을 한폭에 그리는 우리 전통회화다. 이번 전시에는 1918년 창립된 서화협회 발기인인 심전 안중식, 소림 조석진, 청운 강진희, 위창 오세창, 해강 김규진, 우향 정대유, 소호 김응원, 관재 이도영 등의 작품과 서화협회에서 그림을 배운 이당 김은호, 소정 변관식, 정재 최우석, 수재 이한복의 작품을 선보인다.
심전 안중식의 작품 '성재수간'은 '나뭇잎 사이로 바람소리가 들린다'는 뜻이다. 서옥에서 책을 읽던 선비가 바깥에서 문들 소리가 들리자 동자가 마당으로 나와 소리가 나는 데를 알아보고 나무쪽으로 귀를 기울이고 있다. 수목과 바위와 나뭇잎 표현에서 수묵필치가 자유롭게 구사된 작품이다. 특히 이시기에 동자가 그림의 정 중앙에 배치된 것은 매우 드물다는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제작 시기는 1910년 대 중엽이다.
안중식과 함께 조선 말기 어진화사로 유명했던 소림 조석진(1853~1920)의 작품도 공개된다. 그의 작품 '청록산수'는 조석진의 중년기를 대표한다. 1898년 가을에 그린 이 작품은 이번 전시 중 가장 오래된 그림이다. 부채꼴 선면을 잘 이용한 정돈된 화면 구성과 깔끔한 필치에 옅게 그려진 담채가 돋보인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오세창 서예 작품 [사진=예화랑] 2021.03.29 89hklee@newspim.com |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사람인 독립운동가 위창 오세창(1864~1953)의 서예작품도 전시돼 있다. 오세창은 독립운동가이면서 서예가이며 언론인이었다. 그는 1918년에 안중식과 조석진, 강진희, 정대유 등과 함께 서화협회를 창립했다.
또 한국 최초의 만화가인 관재 이도영(1884~1933)의 작품도 펼쳐진다. 오세창이 신문에 글을 쓰면 이도영이 삽화를 그렸다. 이에 그는 '근대 만화의 아버지'라고도 불린다. 전시장에는 선면 산수화인 '도원문진'과 중국 북송시대 시인 소동파의 후 적벽부 구절과 함께 그림을 그린 '산고월소 수락서출' 등이 전시돼 있다.
한편 전시장에는 100년 전 일제에 의해 국권을 빼앗긴 암흑의 시기에 우리의 서화를 지키고자 했던 민족 서화가들의 열정이 현대작가의 손에서 다시 재현된다. 역사적 기록 사진 위에 컴퓨터 기술을 입혀 미디어아트를 구현하는 이상현 작가의 작품을 통해 우리 민족의 얼을 지키고자 한 서화협회인들의 정신을 다시 한번 엿볼 수 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이상현 작가 '조선의 봄' [사진=예화랑] 2021.03.29 89hklee@newspim.com |
이상현 작가의 '조선의 봄'은 민족 서화를 지키기 위해 애쓴 서화인들의 염원을 보여주기 위해 김방은 대표가 준비했다. 이 작품은 함경북도 길주를 배경으로 하고 있고, 갓을 쓴 조선인들 사이마다 복사꽃이 피어있다. 복사꽃은 이상현 작가가 인위적으로 만든 것으로 '유토피아'를 상징한다.
원본 사진은 주일 독일대사관 무관인 헤르만 사더가 1906년에 러일전쟁에 대한 정보수집 명령을 내리고 길주 인근을 지나면서 찍은 것이다. 이 사진은 열강의 전쟁지가 된 조선의 인상적인 풍경이다. 실제로 필름 카메라를 든 건 일본인이다. 이에 당시의 복잡한 국제적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이상현 작가는 "당시 조선은 을사조약으로 국권이 빼앗겨 유토피아가 없었다"며 "작품의 제목을 '조선의 봄'으로 한 건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연관지었다. 봄을 기다리며 가상의 봄을 만든거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작품 속 복사꽃은 '무릉도원'을 상징하지만, 가상이기 때문에 가짜 복사꽃을 찍어 작업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전시는 24일까지.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