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란 편집위원= 사람들이 관심을 가졌던 아니든 지난 1990년대~2000년대까지 20년간 국내에서도 많은 미술전시들이 열렸다. 큐레이터를 비롯해 적잖은 뮤지엄(또는 공공기관) 스탭들이 이에 참여해 열정적으로 기획물을 쏘아올렸다. 1990년대와 2000년대는 한국 문화예술계에 비엔날레가 자리를 잡아가고, 새로운 미술공간들이 잇따라 세워진 시기다. 또 현대미술과 관련해 많은 지원제도와 레지던스가 도입되는 등 변화가 두드러졌던 시기였다.
이에 아트선재센터(부관장 김해주)는 지난 2018년 10월, 1990년대와 2000년대 한국 현대미술을 큐레이팅을 중심으로 살펴보자며 릴레이 대담을 가졌다. 이름하여 '큐레이터 토크: 9X0X' 프로젝트였다. 이를 위해 여러 큐레이터들이 연구자들과 깊이있는 토크를 나눴다. 1년반이 지나 아트선재센터는 당시의 대담을 정리 보완하고, 몇편의 새로운 글을 더해 '큐레이팅 9X0X'라는 책을 출간했다.
[서울=뉴스핌] 이영란 기자= 아트선재센터가 최근 펴낸 '큐레이팅 9X0X' [사진=아트선재센터] 2021.3.19 art29@newspim.com |
지난 20여년간 한국 미술계에서 시행되었던 주요 전시들의 진면목을 살펴볼 수 있는 이 책에는 김선정, 김성원, 김홍희, 백지숙, 안소연, 이영준, 이영철 등 7명의 큐레이터가 참여했다. 또 연구자인 김해주, 문혜진, 박가희, 윤지원, 이지원, 전효경이 대담자로 나섰다. 결국 2018년 가을의 대화를 계기로 1990년대와 2000년대 한국 미술에서 큐레이팅의 단면과 각 큐레이터의 입장, 전시의 기록들이 일종의 백서처럼 집대성된 셈이다.
대화에 참여한 큐레이터들은 아직 국내에서 큐레이팅의 역사가 일천하고, 정확한 모델이 수립되지 않았던 시기에 저마다 연구와 학습, 그리고 실천을 통해 큐레이터십을 정립해 나갔다. 각각의 대담 글은 개별 큐레이터가 일해온 장소, 기관, 작업방식을 고려해 진행되었다. 또 대담자가 설정한 질문의 초점을 반영해 프로덕션, 기관 운영, 개인전 기획 등 큐레이팅의 실질적 방식에 해당하는 부분과 아카이브, 여성주의, 공간, 다원성, 사진 등 큐레이팅의 주제에 해당하는 부분이 씨줄날줄처럼 직조됐다.
연구자의 질문들은 구체적인 전시를 그 사례로서 세밀히 거론하고 있다. 또한 각 대담은 언급된 전시들에 대한 개요, 작가 리스트, 설치 사진 등을 곁들여 당시 기획전에 관한 제반 사항을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아트선재센터측은 책의 후반부에 7명 큐레이터들의 대담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몇 편의 글을 추가했다. 즉 전시의 맥락이 되는 시대와 제도를 헤아리는 데 도움이 될 작가 정서영, 큐레이터 김장언, 비평가 서동진의 글을 수록한 것이다.
[서울=뉴스핌] 이영란 기자= 대만의 현대미술가 천제런의 '상신유신' 전시에 출품된 21분 길이의 영상작업 '능지: 기록 사진의 전율'. [사진=아트선재센터] 2021.3.19 art29@newspim.com |
아트선재센터 관장을 역임하고, 현재 광주비엔날레를 이끌고 있는 김선정 광주비엔날레대표는 "역동적 격변기였던 지난 1990년대와 2000년대 국내의 큐레이팅을 단면으로나마 살펴봄으로써 2020년대의 큐레이팅이 과연 어떤 방향으로 변화할지를 조망해봤다"며 "과거의 역사와 경험을 통해 배우고, 현재와의 차이를 점검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큐레이팅이 자리잡았으면 한다"고 밝혔다. 책의 구입은 서울 종로구 율곡로 아트선재센터 1층의 예술전문서점 더북스에 방문하거나, 더북스 온라인스토어를 통하면 된다. 총324쪽.
한편 아트선재센터는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대만의 현대미술가 천제런(61)의 한국 첫 개인전 '상신유신'전을 미술관 2,3층에서 개최하고 있다. 전시에는 작가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영상작업 '미는 사람들'(2007~2008)을 비롯해 1999년부터 2017년까지 시기별로 영상 6점, 사진연작 1점 등이 나와 천제런의 작품세계 전반을 음미할 수 있다. 전시는 5월2일까지.
art2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