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금일 중국증시 포인트(1.19)] 반도체 랠리 시동, 플라스틱 대체주 부상

기사입력 : 2021년01월19일 13:16

최종수정 : 2021년01월19일 13:16

[편집자] 이 기사는 1월 19일 오전 10시4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5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딩동' 19일 중국증시에서 눈여겨볼 만한 '필독 뉴스'가 도착했습니다. 중국 주요 증권∙경제전문 매체들은 △반도체주 강세, 기관 집중매수의 새로운 목표물로 떠올라 △플라스틱 금지령 속 '분해성 플라스틱주' 강세, A주 불마켓 주도하는 다크호스로 부상 등의 소식에 주목했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살펴볼까요.

한편, 이날 중국 A주의 3대 지수는 서로 다른 양상으로 출발했습니다. 상하이종합지수의 개장가는 전일 마감가 대비 0.14포인트 떨어져 0.00%의 등락폭을 기록했고, 선전성분지수는 0.06% 상승출발했으며, 창업판 지수의 개장가는 전일 마감가 대비 0.09% 떨어졌습니다. 업종별로는 경마, 분해성 플라스틱, 의료 미용 등의 섹터 테마주가 강세 흐름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사진 신화사 = 뉴스핌 특약]

"다시 뜨는 반도체株, 기관 집중매수의 목표물로 부상"

전세계적인 반도체 칩 부족 사태가 현실화되면서, A주(중국 본토증시에 상장된 주식) 시장에서 반도체 업종이 강세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요.

새해 들어 반도체 섹터 우량주를 중심으로 한 강세흐름이 이어지고 연출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반도체 종목이 기관자금 '집중매수'의 새로운 투자대상으로 부상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아울러 일부 우량주 종목에 대한 고평가 지적과 함께 이에 따른 주가 거품 논란도 제기돼 주목됩니다.

18일 선완연구소(申萬研究所)가 산출하는 '전자업종지수'는 3.57%의 주가 상승폭을 기록한 가운데, 그 중에서도 반도체와 칩 업종이 눈에 띄는 강세 흐름을 보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웨이얼반도체(韋爾股份 603501.SH), 통푸마이크로(通富微電 002156.SZ), 입앙미(立昂微 605358.SH) 등이 주가 상한선인 10%를 넘어섰는데요. 이 밖에도 원타이과기(聞泰科技 600745.SH)가 9.42%, 베이팡화창(北方華創 002371.SZ)이 8.90%, 정방테크놀로지(晶方科技 603005.SH)가 8.53% 상승했습니다.

특히, CMOS이미지센서(CIS∙CMOS image sensor) 칩 생산 선두기업인 웨이얼반도체는 18일 314.60위안의 종가를 기록해 최고가를 경신, 시가총액(시총) 2700억 위안을 돌파했습니다.

반도체 시장의 높은 성장잠재력을 배경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통해 입증된 견고한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웨이얼반도체의 주가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데요.

이날 저녁 웨이얼반도체가 공개한 2020년 실적 전망치에 따르면, 지난 한해 웨이얼반도체가 거둬들인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426.17%~533.55%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함께 이날 반도체칩 상장지수펀드(ETF) 지수인 '반도체칩EFT(512760.SH)' 또한 5.43%나 올랐는데요. 새해 들어 반도체칩ETF의 주가는 15%나 상승하며 활발한 거래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월개증권(粵開證券)은 "반도체 다운스트림 산업의 실적확대 및 수요확대가 미들∙업스트림에 속하는 설계∙제조 분야의 경기회복세로 이어지면서, 반도체 종목은 기관자금 '집중매수'의 새로운 투자대상으로 떠올랐다"고 평했습니다.

중국 현지의 모 펀드매니저는 "반도체 업종은 줄곧 돈이 되는 투자대상으로 주목을 받아왔다"면서 "최근 자금이 미미한 주가 흐름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가운데 반도체 업종은 시기와 타이밍을 잘 맞춰 부상한 투자대상으로 주목 받고 있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또 다른 펀드매니저는 "최근 반도체가 '핫'한 업종으로 떠올랐다"면서 "새해 들어 주가 상승세를 보이는 종목은 대부분 해당 업종의 우량주로서 일부 업종의 주가는 30% 이상 상승했는데, 기업의 펀더멘털 등을 고려할 때 다소 고평가 된 점이 없지 않으며 어느 정도의 주가 거품은 분명히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A주 불마켓 견인 다크호스로 떠오른 '분해성 플라스틱'"

올해 1월 1일부터 중국에서 '플라스틱 사용 제한령(限塑令)'이 본격 시행되면서 '분해성 플라스틱' 업종이 A주 시장의 불마켓을 견인하는 다크호스로 떠올랐는데요.

18일 중국증시에서 일부 분해성 플라스틱 대표주들은 두 자릿수의 주가 상승폭을 기록하며 A주 강세장을 견인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연창인터넷미디어(聯創股份 300343.SZ)이 7.76%, 성풍고재(瑞豐高材 300243.SZ)가 13.53% 상승했습니다.

중국 당국은 지난 2007년 이후 '플라스틱 사용 제한령'을 발표하며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 대응에 적극 나서왔는데요. 그 이후 정책을 점진적으로 개선해 왔고, 지난해 초에는 역대 가장 엄격한 '플라스틱 사용 제한령'을 발표했습니다. 2020년 말까지 상하이를 비롯한 4대 직할시와 성(省)과 도시 등에서 분해 불가 비닐봉지의 사용을 정식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죠.

지난해 7월에는 9개 중앙부처가 2021년 1월 1일부터 플라스틱 면봉과 식기 등의 생산∙판매 등을 규제한다는 내용의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관리 강화 의견'을 발표하며 정책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시켰습니다. 

특히, 상하이와 베이징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관련 정책이 빠르게 추진되고 있는데요. 지난해 10월 상하이 발전개혁위원회 등 10개 유관부서는 '상하이시의 플라스틱 오염 관리 강화 시행 방안'을 발표했고, 12월 베이징시는 2020년 말까지 마트와 약국 등에서 분해 불가 비닐봉지의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베이징시의 플라스틱 오염 관리를 위한 행동계획(2020~2025년)'을 발표했습니다.

천풍증권(天風證券)은 중국 당국의 플라스틱 금지령이 시행되면서 향후 택배, 음식배달, 농가 등에서 분해성 플라스틱의 수요가 현재의 4만2000톤에서 더욱 확대, 향후 관련 시장 수요는 45배 정도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