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퇴적물 오염 등 개선…천연기념물 등 다수 확인
[내포=뉴스핌] 송호진 기자 = 충남도는 금강이 보 개방 이후 수질과 퇴적물 오염도가 개선되고 여울 및 모래톱이 확장되며 멸종위기 야생 생물과 천연기념물이 출현하는 등 자연성을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금강 수 환경 모니터링 주요 결과에 따르면 금강 수질은 4대강 사업 이후 환경기초시설에 고도처리시설 등을 집중 설치하며 개선됐으나 보 운영 기간 점진적으로 악화되고 보 수문 개방 이후에는 점차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세종보와 공주보 변화모습[사진=충남도] 2020.12.21 shj7017@newspim.com |
금강 3개 보 가운데 공주보 상류(곰나루)의 경우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4대강 사업 전 2.9㎎/L에서 보 개방 전 3.3㎎/L로 높아졌으며 보 개방 이후에는 2.9㎎/L로 농도가 낮아졌다.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사업 전 6.1㎎/L에서 개방 전 7.9㎎/L로 악화된 뒤 개방 이후 6.7㎎/L로 개선됐다.
클로로필-에이(Chl-a)는 사업 전 33㎎/L, 개방 전 48.2㎎/L, 개방 후 33.6㎎/L를 기록했다.
총인(T-P)은 사업 전 0.189㎎/L에서 개방 전 0.091㎎/L로 농도가 감소돼 4대강 사업에 맞춘 환경기초시설 내 고도처리시설 설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 개방 이후에는 0.093㎎/L로 약간 증가했으나 이는 보 개방에 따른 유속 증가로 강바닥 퇴적물이 부유하고 본류 담수량 감소 등으로 지류 하천 오염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세종보와 백제보 수질 역시 공주보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공주보 퇴적토는 △완전연소가능량 2015년 7.38%→2020년 0.49% △총질소 2015년 3690㎎/㎏→2020년 499㎎/㎏ △총인 2015년 639㎎/㎏→2020년 177㎎/㎏으로 수문 개방 후 오염도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 개방은 또 모래톱과 자갈밭, 하중도, 습지 등 다양한 수변공간을 되살렸고 이 공간은 멸종위기종이나 천연기념물 등 다양한 생물을 불러들였다.
공주보와 세종보 구간에 드러난 모래톱과 하중도 등지에서는 멸종위기 야생 생물 Ⅱ급인 흰목물떼새와 Ⅰ급인 수달, 천연기념물인 원앙, 국제적멸종위기종인 큰주홍부전나비 등이 광범위하게 서식하는 것을 확인했다.
멸종위기 야생 생물[사진=충남도] 2020.12.21 shj7017@newspim.com |
공주보·세종보 상류 구간에서는 지난해와 올해 멸종위기 야생 생물 Ⅰ급인 흰수마자를 발견했으며 4대강 사업 이후 금강 본류에서 채집되지 않았으나 보 개방 이후 다시 발견됐다.
흰수마자는 물살이 빠르고 깨끗한 모래가 깔린 환경에서만 서식하는 한반도 고유종이다.
금강 본류 유수성 어종을 대표하는 피라미와 돌마자는 보가 설치된 뒤 개체수가 감소하다 수문을 전면 개방한 2018년부터 개체수가 급증했다.
금강 바닥은 수문 개방 전 보 상류부에서 퇴적이, 하류부에서는 가동보 구간을 중심으로 낙차에 의한 침식이 발생했으나 수문 개방 이후에는 고정보 주변 퇴적, 주 수로의 지반고 하락 등을 확인됐다.
금강 3개 보 주변 지하수위는 강수량, 지하수 이용량 등에 따라 기간별로 증감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지하수 관측망 지점이 보 설치 지점과 떨어져 있어 보 수문 개방에 따른 영향을 명확히 파악할 수 없었다.
하지만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단이 보 개방 전·후 지하수위를 모니터링 한 자료에 따르면 세종보와 공주보는 전반적으로 보 개방에 따른 지하수위 영향이 적었으나 백제보는 비닐하우스 수막 재배 지역(자왕펄)에서 보 수위 감소폭보다 지하수위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김찬배 도 기후환경국장은 "충청의 젖줄인 금강은 도민의 삶의 터전이자, 미래의 희망"이라며 "금강 수 환경 모니터링을 통해 금강에 대한 최적의 관리 방안을 찾고, 미래 발전을 위한 정책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충남도는 내년부터 2025년까지 3단계 금강 수 환경 모니터링 사업을 금강하굿둑까지 확대해 추진할 계획이다.
shj70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