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79개 저축은행중 상장사는 푸른저축은행 유일
2011년 사태 후폭풍…M&A·영업 제한에 상장 수요 적어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최근 국내 증시에서 SK바이오팜과 카카오게임즈, 빅히트 등 공모주 대박 열풍을 타고 상장을 추진하려는 기업이 늘고 있다. 그럼에도 유독 저축은행업계는 상장 추진 소식이 들리지 않는다. 지난 2011년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 후폭풍 영향이란 분석이지만, 10년 가까이 지난 만큼 경영 투명성 확보 차원에서라도 상장사가 나와야 하는 것 아니냔 지적이 나온다.
최근 2~3년간 국내 저축은행들은 중금리 대출 확대 등으로 연간 순이익이 1조원을 넘는 등 실적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올해 코로나19 와중에도 지난 6월 말 기준 79개 저축은행들의 총자산은 82조6000억 원으로, 작년 말보다 5조4000억 원(7%) 증가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도 14.86%로 지난해 말(14.83%) 대비 0.03p개선됐다.
20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79개 저축은행중 상장사는 푸른저축은행이 유일하다. 2000년대 초반 한때 10곳에 달하던 상장 저축은행들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및 2011년 '저축은행 사태'를 계기로 대부분 상장폐지됐다.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2020.10.20 tack@newspim.com |
2009년 HK저축은행(현 애큐온저축은행)이 자진 상폐한 이후 2011년 제일저축은행이 상장 폐지됐다. 이후 2012년 당시 업계 1위였던 솔로몬저축은행을 비롯 한국, 진흥, 서울저축은행 등이 줄줄이 경영난에 증시에서 사라졌다. 이후 현재는 지난 1996년 코스닥에 상장한 푸른저축은행이 유일한 상장 저축은행이다.
현재로선 업계 '빅 2'인 SBI저축은행과 OK저축은행에다 최근 몸집을 급격히 불린 호주계 페퍼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유진저축은행 등이 잠재적 상장 후보로 꼽힌다. 거기에 일부 알짜 중소 저축은행도 상장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1위 SBI저축은행의 경우 4~5년전 한때 상장을 검토하다 접은 것으로 전해진다. 2012년 당시 현대스위스저축은행을 인수한 대주주 일본 SBI그룹은 지금까지 SBI저축은행에 조 단위 자금을 투입해 업계 1위로 성장시켰다. 대주주가 투자 회수(엑시트) 차원에서 상장을 검토할 수 있단 얘기다.
SBI저축은행 관계자는 그러나 "과거에도 상장 요건을 검토한 것이지 상장을 추진한 것은 아니다"라며 "사정이 훨씬 좋아진 나중에 고려해볼 수도 있겠지만 현재로선 전혀 상장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페퍼저축은행 역시 예비 상장 후보로 꼽힌다. 7년만에 자산 규모를 3조원대로 늘리며 업계 3위권에 진입했다. 상반기 페퍼저축은행의 자산 규모는 3조7328억원으로 SBI저축은행(10조2112억원), OK저축은행(7조6100억원)에 이어 3위에 올랐다.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2020.10.20 tack@newspim.com |
페퍼저축은행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브레인스토밍 차원에서 언급은 된적 있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검토한 적은 없다"며 "당장은 코로나19에 따라 내년 서바이벌이 가장 큰 화두"라고 말했다.
현재 금융당국이 추진중인 인수합병(M&A)이나 영업구역 제한이 완화된 이후에 좀더 상장이 활발히 추진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타 업권에 비해 수신 기능이 있어 상장을 통한 대규모 자본확충 니즈가 적다"며 "마음대로 M&A할수 있는 상황도 아니고 영업권도 제한돼 있어 지금 타이밍에서 상장 니즈는 적은 것 같다"고 귀띔했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