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72조 지원…핵심 계열사 은행 부담 확대
국채 물량에 은행채까지 가세, 수급 나빠져
발행금리 상승->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서울=뉴스핌] 백진규 기자 = 뉴딜금융 지원을 위한 은행채 발행이 늘어나면서 은행의 금융비용도 증가할 전망이다. 결국 은행 대출금리도 함께 오를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의 뉴딜금융 지원을 위해 주요 금융지주사들은 앞으로 5년간 72조원의 자금을 공급할 계획이다. 지난 3일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금융권의 적극적 지원을 당부했으며, 회의에는 주요 금융지주 회장들도 참석했다.
![]() |
주요 시중은행 사옥 [사진=각 사] |
금융사들은 자금 조달을 위해 ▲운용사를 중심으로 한 관련 펀드 조성 ▲유보금 등 자체자금 활용 ▲유상증자 등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특히 계열사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크고 관련 대출을 진두지휘 할 은행의 채권 발행이 필수적이다.
금융권의 뉴딜금융 지원은 크게 신산업 투자와 일반대출로 나눌 수 있는데, 대출 자금 마련을 위한 은행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채권 발행도 늘어날 전망이다. 목적상 사회지원, 그린뉴딜 등에 부합하는데다 명분도 맞아 자금조달이 더 쉽다고 금융권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문제는 은행채 물량 확대가 수급 부담으로 이어져 시장금리를 끌어올린다는 점이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국채 발행을 늘리는 추세인데, 앞으로 5년간 은행채 물량까지 늘어나면서 약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우려했다.
한광열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내년 3월까지 LCR 등 유동성 규제 완화를 시행하고 있지만 추가 연장이 불확실해 은행에서는 선제적 자금 확보가 필요하다"며 "뉴딜금융 지원까지 더해져 은행채 발행 부담은 더욱 커졌다"고 설명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코로나와 추경 등이 겹쳐 시장금리가 상승세로 전환한 시점에서 은행채 발행 확대는 전체 크레딧 시장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하위등급 회사채 발행이 더욱 어려워질 텐데, 결국 이는 시중은행 대출 증가로 이어지면서 악순환이 된다"고 말했다.
코로나 이후 은행들은 채권 발행을 크게 늘려 왔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1~8월까지 순발행 은행채 규모는 34조8941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0배 넘게 증가한 셈이다. 반면 시중은행 7월 총수신액은 전월비 약 17조원 줄어든 2018조7640억원이었다. 예금금리가 하락하면서 정기예금 등이 감소한 영향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앞으로 예금 잔액이 더 줄어들 수 있어, 결국 그만큼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며 "아직 구체적인 뉴딜금융 지원 방안을 논의해 봐야겠지만 은행 입장에서는 더욱 부담"이라고 전했다.
금융사들의 뉴딜금융 지원이 결국 은행 고객의 손실로 돌아온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채 금리가 오르면 그만큼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이 커지게 된다. 대출 수요는 계속 늘어나는데, 결국 대고객 대출금리는 오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bjgchin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