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로열티 20억~30억 추산...독자경영 3년 째 적자 이어져
[서울=뉴스핌] 박효주 기자 = GS리테일이 글로벌 헬스앤뷰티(H&B) 업체 왓슨과 결별하고 독자 노선을 걸은지 3년 째를 맞았지만 부진이 심화되며 여전히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모양새다. '랄라블라'로 사명을 바꾸고 단독 경영에 나선 것이 오히려 독이 됐다는게 업계의 평가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GS리테일 랄라블라는 현재 기준 133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경쟁사인 올리브영 등 H&B시장은 매년 커지고 있지만 랄라블라는 뒷걸음질 치고 있다.
랄라블라 매장 수 추이. 2020.08.12 hj0308@newspim.com |
◆H&B 시장 확대에도 뒷걸음질...3년 전 比 매장 53개 폐점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국내 화장품 시장 규모는 14조8158억원으로 5년 사이 16% 성장했다. 화장품 소매시장에서 H&B 점유율은 2018년 12.5%로 5년 전에 비해 7.8%포인트(p) 커졌다.
반면 랄라블라는 매장 수를 줄이며 시장 성장에 뒤처져왔다. GS리테일에 따르면 지난 해 말 기준 랄라블라 매장 수는 140개로 올 들어서만 7개 매장이 폐점했다. 이는 랄라블라로 사명을 바꾸기 전인 2017년 말 기준 매장 수 186개에 비하면 28% 줄어든 수치다.
통상 H&B 사업의 경우 매장 수를 지표로 사업 성패를 판단한다. 상품을 직매입하거나 유통하는데 '규모의 경제'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서다. 실제 업계 1위인 올리브영은 지난해 기준 국내 매장 1246개를 운영 중이며 매출은 3569억원, 영업이익은 166억원으로 큰 격차를 보인다.
실적 악화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랄라블라는 158억원 누적적자를 기록해 적자가 지속되고 있으며 매출은 1628억원으로 전년(1728억원)대비 5.8% 감소했다.
GS리테일은 지난 2005년 홍콩 AS왓슨과 합작으로 왓슨스코리아를 설립해 H&B 시장에 뛰어든지 올해로 20년을 맞았다. 이후 2017년 6월에는 홍콩 AS왓슨 지분 50%를 인수해 독자 경영을 선언하고 이듬해에는 브랜드명을 '왓슨스'에서 '랄라블라'로 교체, 매장을 300개로 확대하겠단 포부도 내비쳤다.
업계에서는 홍콩 AS왓슨에 지급해 온 연간 로열티를 20억~30억원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독자경영 이후 적자폭은 더욱 커지는 셈이다.
인수 전 왓슨스코리아는 별도 로열티 지급 내역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왓슨스코리아 공시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지급수수료 항목으로 35억원을 판관비에 포함하고 있다. 지급수수료는 전년인 2015년에는 31억원, 2014년 25억원 수준이다.
랄라블라 1분기 실적 추이. hrgu90@newspim.com |
◆'랄라블라' 부진 언제까지?..."차별화 전략 부재 아쉬워"
이 같은 추세에 업계서는 GS리테일이 랄라블라를 매각할 것이란 소문이 돌기도 했다. 지난해 투자은행(IB) 업계에서 랄라블라가 매물로 나왔고 잠재적 매수자와 접촉을 했다는 얘기도 들렸다.
이를 뒷받침하듯 GS리테일은 랄라블라에 대한 투자액도 줄였다. 지난해 GS리테일은 랄라블라에 73억원 가량을 투자할 계획이었지만 실제 14억여원을 투입하는 데 그쳤다. 올해 랄라블라 투자 예산은 20억원에 불과하다.
올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오프라인 매장이 직격탄을 맞아 연내 흑자전환은 여전히 요원한 상태다. 올 2분기 영업손실 규모는 48억원으로 전년 동기(42억원) 보다 적자폭이 커졌다. 매출액은 251억원으로 같은 기간 401억원에 비해 반토막이 난 수준이다.
랄라블라가 부진을 이어가는 데는 경쟁사와 달리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고 있지 않아서다. 올리브영의 경우 가맹점과 직영점을 모두 운영하며 매장 수를 늘려 외형 확장을 이뤘고 롭스는 롯데마트 내 특화매장에 입점하며 차별화 전략을 취하고 있다.
랄라블라는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부진 매장을 정리해 수익성을 키우겠단 전략을 써왔지만 이는 브랜드력을 갉아먹는 요소로 작용했다는게 업계의 평가다.
한 H&B 업계 관계자는 "소극적으로 유통망을 관리하고 있고 경쟁사에 비해 차별화 전략이 없다는 점이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독자 경영에 나선 이후 브랜드 파워가 떨어지는 것도 (부진한) 요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hj030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