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뉴스핌] 조은정 기자 = 광주시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을 살리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선제적이고 입체적인 지원에 나서는 등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19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역경제의 근간인 소상인이 무너지면 광주 지역경제가 무너진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가능한 모든 수단을 총 동원하고 나선 것이다.
광주시 청사 [사진=뉴스핌DB] 2020.04.21 ej7648@newspim.com |
광주시가 펼치고 있는 소상공인 지원사업은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융자지원 △중소유통업 구조개선자금 운영 △골목상권 특례보증 자금 지원 △지역화폐 광주상생카드 운영 △빛고을 소상공인 지킴이 사업 △금융 소외자 소액금융 지원 △노란우산공제 가입 장려금 지원 △코로나19 확진자 방문점포 재개장 지원 등 이다.
특례보증은 광주지역 소재 소기업으로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기업에게 담보 없이 광주시가 1년간의 대출 이자와 보증수수료를 대신 부담한 정책으로 7월 현재까지 1만8553건에 5118억원의 보증서가 발급됐고 이 가운데 5063억원의 대출이 실행됐다.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 영세 자영업자의 경영안정 자금 지원으로 자생력을 강화하고 서민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제도로 올들어 7월 현재까지 635건에 113억원의 보증실적을 기록했다.
중소유통업 구조개선자금은 지난해 24개 업체에 21억7000만원을 지원한데 이어 올해에는 35개 업체에 시설자금 3억원과 운전자금 15억5000만원 등 총 18억5000만원을 지원했다.
금융소외자에 대한 소액대출인 빛고을론도 7월 현재까지 253명에게 7억5240만원을 대출했고, 소상공인의 폐업·사망 등 생계위협으로부터 생활안정 및 사업재개 기회를 제공하는 공적제도인 노란우산공제도 6월말 기준 2092명을 지원했다.
지난 7월 현재 광주상생카드 발행액은 4905억원으로 이 가운데 4287억원이 지역에서 사용됐다. 발행액 가운데는 가계긴급생계비 1050억원,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971억원, 저소득층 한시생활지원금 347억원 등 정책사업 자금 2423억원이 포함돼 있다.
이밖에도 코로나19 확진자가 방문해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는 소상공인의 점포가 재개장할 경우 지원하는 사업 등이다.
광주시는 최근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확진자 방문 점포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예비비 3억원을 추가로 긴급 투입해 피해 소상공인 지원에 차질이 없도록 할 예정이다.
박남언 일자리경제실장은 "코로나19로 매출 급감 등 소상공인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며 "지역경제의 근간인 소상공인들이 무너지지 않도록 모든 정책을 총동원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ej764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