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서울대병원 희귀질환센터(센터장 채종희)는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첫 환자 등록을 마쳤다고 14일 밝혔다.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은 희귀질환자의 임상 및 유전자 데이터를 수집해 질병의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를 위한 연구를 시작하는 국가사업이다.
[사진= 서울대병원] |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관계 부처, 의료계, 학계, 산업계, 환자가 참여한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희귀질환자의 모집이다. 이는 조건에 맞는 희귀질환 환자 데이터가 많이 모일수록 향후 원인규명과 치료제 개발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서울대병원 희귀질환센터는 전국 16개 희귀질환 협력기관의 중앙지원센터로 환자 모집을 총괄한다.
조건에 부합하는 환자를 꼼꼼하게 선별해 사업의 기초를 다진다.
첫 환자는 지난 6월 30일 서울대병원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에 등록했다. 4살인 김모 군은 지난 2017년 근육 이상으로 서울대병원에 내원했다.
걷기나 계단 오르기에 어려움을 보였고 임상 소견이 듀센형 근육병(DMD)과 일치했다. 다만 기존 제도권 내 유전자 검사에서는 듀센형 근육병을 발생시키는 돌연변이 위치를 찾을 수 없었다.
김 군은 '유전자 이상 및 유전자 관련 배경이 강력히 의심되는 희귀질환으로 판단되고 기존 제도권 내에서 진단을 위한 1, 2 차 유전자 검사를 시행했으나 음성으로 확인된 경우'에 해당돼 희귀질환자 모집조건에 부합했다.
이번 시범사업에 참여할 경우 유전자 전체를 검사하는 전장유전체분석(WGS)을 거쳐 진단참고용 보고서를 발급받는다.
여기에 질병 원인 규명의 기회가 추가로 제공돼 추후 진료에도 도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채종희 센터장은 "희귀질환은 진단도 어렵고 치료가 성공하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돼 국가적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또한 4차 산업 관련한 의료 빅데이터 및 정밀 의료의 가치가 가장 잘 실현될 수 있는 분야"라고 설명했다.
채 센터장은 "각 희귀질환별 환자 수는 적지만 전체 환자 수는 총 인구의 5~10%에 이를 것으로 본다. 흩어져 있는 소중한 임상 및 유전 정보를 빅데이터로 구축하면 새로운 원인 유전자를 찾아내는 등 치료 단서를 찾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시범사업의 결실을 희귀질환자 및 그 가족들과 함께 나눌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희귀질환자 참여 문의는 16개 희귀질환 협력기관이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무국(043-719-6816)을 통해 할 수 있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