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해 GC녹십자와 정부의 협업 체계가 작동한다.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질병관리본부의 코로나19 혈장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 과제에 우선순위 협상대상자로 최종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 |
[이미지=GC녹십자] |
이에 따라 GC녹십자 프로젝트가 국책과제화 돼 치료제 개발속도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GC녹십자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 'GC5131A'의 치료적 확증을 위한 임상시험 및 상업 생산 준비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임상시험은 늦어도 오는 7월 중에 개시될 예정이며, 일부 의료기관에서 약물 제조를 위한 코로나19 회복기 환자 혈장 수집이 이번 주 시작된다.
여기에 곧 적십자사 혈액원에서도 이 같은 혈장 수집이 진행될 전망이다.
GC녹십자는 자사 혈액제제 국내 생산기지인 오창공장에서 치료제 양산을 위한 시험 생산도 이미 성공적으로 마친 상태다.
혈장치료제 'GC5131A'는 회복기 환자의 혈장을 중증 환자에 직접 투여하는 '혈장 치료'와는 차이가 있다.
혈장치료제는 혈장에서 항체가 들어있는 면역 단백질만 분획해서 고농도로 농축해 만든 의약품이다.
GC녹십자는 시급한 코로나19 환자 치료 목적과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신종 감염병 치료제 플랫폼 확보라는 목표 하에 혈장치료제 개발을 추진 중이다.
허은철 GC녹십자 사장은 "유례없는 위기를 직면한 지금은 현재와 미래를 동시에 능동적으로 준비 할 때"라고 강조했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