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백지현 기자 = 글로벌 신용평가사 S&P는 국내 주요 시중은행들이 수익성을 압박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파생결합펀드(DLF) 사태로 금융상품 관련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판촉활동과 수요가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13일 S&P는 "국내 주요 시중은행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위축 우려 속 리스크 관리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주요 시중은행 사옥 [사진=각 사] |
S&P는 올해 신한·KB·우리·하나금융 국내 4대 은행의 평균 총자산이익률이 0.55%로 감소하는 등 수익성 하락 추세를 전망했다. S&P는 "저금리 환경이 장기화되면서 순이자마진 압박, 경기둔화전망 및 충당금 환입액 감소로 인해 대손비용률이 소폭 증가할 것"이며 "금융상품에 대한 고객 수요 감소와 핀테크 업체들과의 송금 및 간편결제 서비스 분야 경쟁 심화로 비이자수익도 다소 압박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S&P는 "국내 주요 시중은행들은 최근 낮은 수준의 부실채권(NPL)비율과 대손비용률을 기록하는 등 신중한 리스크 관리 능력을 시현해 왔다"며 "이를 바탕으로 올해 예상되는 수익성 압박을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가 부동산 규제를 강화함에 따라 가계대출 증가세도 둔화되고 올해부터 신(新)예대율 규제로 높아진 가계대출 가중치를 반영해 원화기준 예대율이 100%를 넘지 않도록 관리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S&P는 올해 평균 대출성장률을 2018년(8%)과 2019년(6%)보다 낮은 4~5% 수준으로 추정했다.
S&P는 한편 DLF 사태를 겪은 은행들이 금융상품 설계와 판매 절차와 관련된 내부통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S&P는 "DLF 사태 대응으로 금융소비자 보호와 불완전 판매 방지를 위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관련 상품의 판촉활동과 수요가 위축될 수 있다"며 "일부 은행은 기업고객들에게 판매한 통화옵션계약과 관련된 배상 비용을 일부 부담해야 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은행들의 손해배상 관련 비용으로 인한 영향은 실적대비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S&P는 "은행들이 규모있고 안정적인 고객 예수금 기반을 바탕으로 향후 수년간 안정적인 자금조달 및 유동성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규제강화와 은행들의 양호한 리스크 관리 전력을 고려할 때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의 잠재적 변동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외화 자금조달 및 유동성 리스크를 적절히 관리할 것"이라고 전했다.
lovus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