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LG생건, 중국 훈풍 불었는데...우한폐렴 악재 '한숨'
中 현지 공장 둔 식품업체..."소비침체 보단 현지 공장 운영 차질 우려"
[서울=뉴스핌] 박효주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폐렴) 확산으로 대중(對中) 매출 의존도가 높은 유통업체들은 긴장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중국 내 소비 침체 분위기에 따른 실적 우려와 함께 특히 현지에 공장을 둔 업체의 경우 생산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어서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중국에 현지 공장을 두거나 지사를 운영 중인 업체들은 출장을 자제한다거나 위생 관리 수준을 높이는 등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 |
[베이징 지지통신=뉴스핌] 김은빈 기자 = 마스크를 쓴 중국 시민들이 베이징(北京)역 부근을 걷고 있는 모습. 지난해 말 중국 우한(武漢)시에서 처음 발견된 '우한 폐렴'이 중국을 넘어 빠르게 확산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2020.01.27 kebjun@newspim.com |
◆아모레·LG생건..."출장 전면 보류, 실적 우려 지켜봐야"
중국 상하이에 현지 공장과 지사를 운영 중인 아모레퍼시픽은 국내 본사 직원들에 대해 중국 출장에 대한 자제 권고를 내렸다. 또한 지난 23일 이후 설 연휴 기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주요 발병 지역(중국, 홍콩, 마카오, 대만)을 다녀온 임직원에겐 당분간 재택 근무를 하도록 했다.
중국 사업장에 대한 조치도 이뤄졌다. 우선 손 소독제와 마스크 등 필요 물품을 확보하고 상하이 법인으로 전달할 예정이다.
상하이 생산연구시설의 경우 지난 21일부터 전 직원 대상 마스크 착용, 출입 통제를 실시 중이다. 중국에 근무하는 주재원 가족들도 한국 복귀 희망자에 한해 이를 지원하고 있다.
LG생활건강 역시 본사 직원들의 중국 지역 출장을 전면 보류하도록 했다. 또 국내 방한 중국인 관광객이 많은 면세점, 백화점 등 매장 근무자들은 마스크를 착용토록 했으며 손세정제도 비치하고 있다.
두 업체 모두 중국 실적 하락 우려에 관해선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최근 K뷰티는 대중 수출액이 둔화세를 보이다 작년 7월 이후 반등에 성공, 기대감이 높아진만큼 충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중국 매출 비중이 워낙 큰 만큼 중국 내수 침체에 따른 타격도 커질 수밖에 없어 선뜻 예측이 어려운 상황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모레퍼시픽은 2018년 기준 중국에서 1조368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해외 누적 매출액은 1조5205억원으로 이 중 중화권 매출 비중은 90%에 달한다.
LG생활건강은 지난해 3분기 중국 브랜드 약진으로 사상 최대 3분기 실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LG생활건강의 화장품 사업 3분기 매출은 1조1608억원으로 이는 전년 동기보다 21.6% 성장한 수치다. 화장품 매출에서 중국을 주력으로 한 해외 매출 비중은 약 34%다.
한 뷰티 업계 관계자는 "K뷰티가 아시아권을 넘어 중동, 미주 등으로 확산하고 있지만 아직까진 중국 매출에 따라 실적이 좌우되는 상황"이라며 "우한폐렴 진행에 따른 타격이 얼마나 클지 가늠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
중국 현지 의료진들이 시민들에게 마스크를 전달하고 있다. [사진=바이두] |
◆식품업계 "현지 공장 위생 철저히...공장 상황 예의주시"
식품업계의 경우 중국 내 소비 침체에 따른 우려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현지 공장 운영에 차질을 빚을 경우 생산량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매출이 큰 대표 식품 기업인 오리온과 농심은 현지 공장을 각각 6곳, 4곳을 운영 중이다. 이들 업체는 모두 춘제(1월24일~2월2일) 기간 동안 운영을 중단한 상태이며 공장 재개 이후 상황을 점검,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농심 관계자는 "식품 업체 특성 상 손소독제나 위생복 등 위생에 관한 사항은 모두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면서 "다만 지방정부에 따른 지침 등에 관해선 춘제 기간이 끝나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리온 역시 "춘제기간이 연장되면서 현지 공장 분위기나 소식을 받긴 어렵다"며 "중국 정부 및 신종 코로나 확산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외 사업장을 다수 운영하고 있는 CJ그룹은 신종 코로나 대책 마련을 위해 지주사 내 테스크포스 차원에서 '위기관리 위원회'를 긴급 구성했다. 위원회는 지주사 내 안전경영팀, 인사팀, 커뮤니케이션팀 등이 참여해 매일 각 계열사 별 상황을 체크한다는 방침이다.
중국 내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을 위해선 마스크 10만장, 손 소독제 2000개를 특별 주문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위생용품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중국 내 각 사업 법인장과 안전 담당자들의 위챗 채팅방을 개설, 실시간으로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및 주요 이슈에 대해 즉각 대응하는 체계를 갖췄다.
CJ그룹 관계자는 "국내와 글로벌 전체 임직원 대상으로 '행동 가이드'를 배포했다"면서 "고객 접점이 많은 사업장을 중심으로 근무자 마스크 착용, 고객용 위생용품 비치, 출입시 손 소독 등을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hj030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