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연초 이후 신흥국 정크등급 기업들의 달러화 표시 회사채 발행이 역대 최고치 기록을 세웠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세 차례에 걸친 금리인하에 자금 조달 비용이 일정 부분 떨어진 데다 고수익률에 목마른 투자자들의 수요가 뒷받침된 결과로 풀이된다.
미국 달러화 [출처=로이터 뉴스핌] |
발행 열기는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만기 도래 물량이 상당한 데다 월가 투자은행(IB) 업계의 예상대로 달러화가 약세 흐름을 보일 경우 채권 매각이 봇물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전문가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신흥국의 부채 버블이 무너질 수 있다는 경고다.
19일(현지시각) 회계 컨설팅 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올들어 신흥국 투기등급 기업의 달러화 표시 회사채 발행액이 1180억달러로 파악됐다.
이는 사상 최대 규모에 해당한다. 또 지난 5년간 신흥국 기업의 달러화 표시 하이일드 본드 발행은 두 배 급증했다.
중국 건설업체부터 남미의 석유업계까지 기업들은 달러화 자금 확보에 잰걸음을 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메릴린치에 따르면 아시아 지역 하이일드 본드의 평균 수익률은 지난 17일 기준 7.6%로, 미 정크본드 대비 2%포인트 이상의 스프레드를 나타냈다.
시중 유동성이 풍부한 데다 연준이 내년 기준금리를 1.50~1.75%로 유지할 여지가 높아 고수익률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의 매입 열기가 내년에도 지속, 발행을 부추길 전망이다.
하이통 인터내셔널 증권의 첸 이 글로벌 자본시장 헤드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투기등급 기업들의 달러채 발행이 내년에도 봇물을 이룰 것"이라며 "경제 펀더멘털을 감안할 때 남미 지역에 비해 아시아 채권의 투자 매력이 높다"고 평가했다.
올들어 신흥국 정크등급 달러채 발행액 가운데 절반 가량은 중국에서 이뤄졌다. 72억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달한 에버그랜드 그룹을 포함해 건설업을 중심으로 중국 기업들의 발행 규모가 남미 지역 발행 총액을 앞지른 것.
남미에서는 지난 3월 브라질 국영 석유업체 페트로바스의 30억달러 규모 달러채 발행이 단일 기업 기준으로 최고치 기록이었다.
미국과 중국의 1단계 무역 합의에 따라 관세 전면전이 진정, 경기 침체 리스크가 가라앉으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투기등급 회사채의 매입 열기가 내년에도 뜨거울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시장 전문가는 밸류에이션 매력 역시 해당 채권의 투자 매력을 높인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BNP 파리바 애셋 매니지먼트의 장 찰스 샘버 신흥국 채권 부대표는 "이머징마켓 회사채가 여전히 저가에 거래되고 있다"며 "중국 건설업계를 중심으로 고수익률을 제공하는 채권이 적지 않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선전 소재 부동산 개발 업체인 카이사 그룹 홀딩스는 지난 10월 회사채 발행에 12.25%에 달하는 수익률을 제공했다.
미국과 유럽 지역의 채권 펀드가 내년 아시아 지역 하이일드 본드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샘버 부대표는 전했다.
다만,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 기업의 디폴트 리스크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신용평가사 피치에 따르면 올해 1~10월 사이 중국 민영 기업의 위안화 표시 회사채 디폴트율이 4.5%로 사상 최고치를 나타냈다.
중국 정부가 디레버리지(부채 축소) 정책을 지속하는 한편 이른바 좀비 기업 퇴출에 무게를 두고 있어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기업들의 디폴트가 당분간 쏟아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편 세계은행(WB)은 이날 보고서를 내고 신흥국 부채 버블을 경고했다. 지난해 말 기준 해당 지역의 부채가 55조달러에 달했고, GDP 대비 부채 비율은 170%로 2010년 대비 54%포인트 치솟았다는 지적이다.
WB는 저금리와 값싼 유동성에 기댄 신흥국의 눈덩이 부채가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