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조사단·시의회·민간감시기구·언론, 시료채취 과정 참관
[경주=뉴스핌] 은재원 기자 =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경주방폐장에 반입된 방폐물의 핵종농도 분석 오류를 적발하자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시료채취 과정을 공개했다.
![]() |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23일 민관합동조사단, 경주시의회, 민간환경감시기구, 언론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주방폐장에 반입된 방폐물의 핵종농도 분석 오류에 대한 방폐물 시료채취 과정을 공개하고 있다.[사진=한국원자력환경공단] |
23일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 따르면 공단은 민관합동조사단, 경주시의회, 민간환경감시기구, 언론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공단에 반입된 원자력연구원(KAERI) 방폐물의 방사능값 재확인을 위해 10드럼의 시료를 채취했다. 원자력연구원 방폐물 핵종농도 분석 오류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아직 처분되지 않은 766드럼 중 10드럼을 선정해 드럼당 500g의 시료를 채취한 것이다.
채취한 시료에 대한 분석은 민관합동조사단 방폐물 전문가와 민간환경감시기구가 직접 참관하고 확인하게 되며 분석결과는 오는 12월 공개할 예정이다.
앞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2015년 이후 원자력연구원이 경주방폐장에 인도한 방폐물의 핵종농도 분석 오류에 대한 특별조사(2018년 6월~2019년 6월)를 실시한 결과 총 2600드럼의 방폐물 가운데 2111드럼의 핵종농도 분석오류를 적발한 바 있다. 다만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오류값을 정정해 비교한 결과 원자력연구원 방폐물의 핵종 농도는 경주방폐장의 처분농도 제한치 이내임을 확인하기도 했다.
공단은 원자력연구원 방폐물 핵종 분석 오류에 따른 지역의 요구로 지난 1월부터 중저준위 방폐물 인수 및 처분이 중단돼 있으며 오는 11월까지 민관합동조사단도 운영하고 있다.
특히 공단은 방폐물 핵종분석 오류 재발방지를 위해 발생지 예비검사 강화, 핵종 교차분석 신설, 검사역량 강화 등을 추진키 위해 방폐물 핵종농도 분석오류 재발방지 대책을 지난 9월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보고한데 이어 중장기 대책으로 핵종분석 능력확보와 방폐물 관리기술 개발에 필요한 자체 핵종 분석시설과 인력 확보를 위해 외부 전문기관 자문, 관련 부처협의 등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공단 관계자는 "방폐물 안전에 대한 국민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재발방지 대책을 착실히 이행하고 국민과 투명하게 소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경북 경주에 본사를 둔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방폐장) 운영 기관이다.
newse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