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자금시장 교란을 진정시키기 위해 대차대조표 확대를 재개하고 나섰지만 출발부터 벽에 부딪히는 양상이다.
월가의 투자은행(IB) 업계와 딜러들이 보유 중인 국채의 매도를 꺼리고 있어 유동성 공급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본부 [사진=로이터 뉴스핌] |
16일(현지시각) 뉴욕연방준비은행은 75억100만달러 규모로 단기물 채권을 매입했다고 발표했다. 대차대조표 확대 재개에 본격 나선 것.
연준의 채권 매입은 레포 거래를 통한 유동성 공급과 함께 자금시장의 리스크를 가라앉히기 위한 것이다.
지난달 17일 하루짜리 레포 금리가 장중 한 때 10%까지 치솟으며 발작을 일으키자 미 통화 당국이 11년만에 유동성 수혈에 나섰고, 대차대조표 확대 역시 이 같은 맥락에서 결정됐다.
연준은 지난 11일 만기 12개월 미만의 단기물 국채를 600억달러 규모로 사들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단기 자금시장의 경색 조짐을 진화하겠다는 복안이다.
문제는 채권 수급이다. 단기물 채권을 대량 보유한 머니마켓펀드(MMF)를 필두로 금융권이 물량을 내놓지 않을 태세다.
월가는 연준과 거래 과정에 수익률이 떨어질 것으로 우려, 연준에 보유 물량을 매각했다가 더 낮은 금리에 다시 사들여야 하는 리스크를 떠안지 않겠다는 움직임이다.
미국 자산운용협회(ICI)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머니마켓펀드가 보유한 단기 국채 물량이 5500억달러로 파악됐다.
전체 2조3000억달러 규모의 시장에서 ‘큰 손’에 해당하는 이들이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어 연준의 통화완화 정책이 순항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스테이트 스트리트 글로벌 어드바이저스의 피아 맥커스커 글로벌 단기 자금 운용 헤드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보유중인 단기물 국채를 팔지 않을 계획”이라며 “연준과 거래를 했다가는 해당 물량을 더 낮은 수익률에 다시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JP모간 애셋 매니지먼트의 존 토빈 고유동성 포트폴리오 운용 헤드 역시 “연준의 거래로 인해 단기물 국채의 수익률 하락이 확실시된다”며 “기존에 확보한 수익률을 채울 묘책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12개월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지난 4월 2.45%에서 최근 1.66%로 떨어졌다. 가뜩이나 수익률을 확보하느라 곤욕을 치르는 월가는 연준의 대차대조표 확대가 반갑지 않다는 표정이다.
금리 하락은 연말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 따르면 국채 선물 시장은 오는 29~30일 연준의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을 90%로 점치고 있다.
올들어 매 분기 말이면 은행권이 단기 대출을 회피하는 움직임도 연준의 대차대조표 확대에 걸림돌이다. 머니마켓펀드가 단기물 국채 매도 후 대체할 투자 자산을 찾기 어려워졌기 때문.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날 연준의 국채 매입에 월가는 약 326억달러의 물량을 공급했다. 일단 출발은 순항을 연출했지만 전망은 흐리다는 지적이다.
한편 연준은 지난 7월과 9월 각각 25bp(1bp=0.01%포인트)의 금리인하를 단행, 기준금리를 1.75~2.00%로 내렸다.
이날 발표된 9월 소매 판매가 0.3% 감소, 7개월만에 내림세로 돌아서면서 이달 세 번째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