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내년 1분기내 S/W 업데이트로 심전도 기능 적용"
원격의료 규제로 국내선 서비스 어려워..규제 완화 기대감↑
[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내년 초부터 미국에서 삼성전자의 스마트워치인 ‘갤럭시 워치 액티브2’에 심전도(ECG) 기능과 심방세동 경고 기능이 제공될 전망이다.
국내 스마트워치 및 스마트밴드 제조사 중 처음으로 스마트워치에 심전도 기능이 탑재되는 것이다. 애플은 지난해 '애플워치4'에서 심전도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워치를 처음 출시한 바 있다.
3일 미국 정보기술(IT) 매체 '샘모바일'에 따르면 내년 1분기 삼성전자는 미국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갤럭시 워치 액티브2'에 심박 측정이 가능한 심전도(ECG), 낙상 감지, 심방세동 알림 기능 등을 추가할 예정이다.
![]() |
알루미늄 소재, 40mm 크기의 '갤럭시 워치 액티브2' 제품 이미지 [사진=삼성전자] |
갤럭시 워치 액티브2는 미국에서 오는 23일 정식출시된다. 하지만 아직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지 못해 해당 기능들은 내년 초부터 제공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국내 기업이 만든 스마트워치에 심전도 기능 등 스마트 헬스 기능 탑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반면 글로벌 스마트워치 시장은 건강관리 기능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전세계 스마트워치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증가했다.
![]() |
특히 애플은 지난해 '애플워치4'에서 심박 측정이 가능한 심전도 기능을 탑재해 출시한 후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관계자는 "자사의 소비자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애플워치의 심전도 측정 기능을 가장 선호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1분기 애플워치 판매량이 전년대비 49% 증가했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내년 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심전도 등의 기능을 추가하더라도 국내에선 이 같은 기능이 제공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심전도 기능은 원격의료의 일종으로 간주되는데 국내 의료법에선 원격의료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이 같은 기능이 탑재된 갤럭시 워치 액티브2 출시로 원격의료와 관련된 논의가 활발해지길 기대하고 있다.
한편 내년 초 갤럭시 워치 액티브2에 심전도 기능을 제공한다는 보도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출시 예정인 제품에 대해서는 확인해 줄 수 없다"며 선을 그었다.
삼성전자가 지난달 공개한 갤럭시 워치 액티브2는 오는 6일 국내 공식출시를 앞두고 지난달 30일부터 사전판매를 진행 중이다.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 44mm, 40mm 두 종으로 출시되며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 소재, 각 세 가지 색상이 적용돼 총 12종이다.
nanan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