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주요국 경제 지표가 일제히 하강,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 일드커브의 침체 경고가 현실로 벌어지고 있다는 의견이 힘을 얻는 가운데 중앙은행의 정책 실패 우려가 투자자들을 더욱 얼어붙게 하고 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최근 미국을 필두로 영국과 독일 스웨덴 등 선진국 장기물 국채로 자금이 홍수를 이루면서 수익률이 수직 하락한 것은 각국 중앙은행이 적절한 시기에 충분한 정책 대응을 단행하는 데 실패할 가능성이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아울러 과거 위기 상황만큼 정책자들의 실탄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전폭적인 금리인하를 단행한다 하더라도 기준금리가 2.00~2.25%로, 11년 전 금융위기 직전의 반토막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통화완화 효과가 지극히 제한적일 것이라는 주장이다.
펜토 포트폴리오 스트래티지의 마이클 펜토 대표는 16일(현지시각) CNBC와 인터뷰에서 “7월31일 연준의 금리인하 이후 불과 20일만에 10년물과 2년물 국채 수익률의 일드커브가 역전한 것은 매우 심각한 신호”라며 “장기물 국채 수익률의 상승 반전을 이끌어내려면 연준은 75bp(1bp=0.01%포인트)에 달하는 공격적인 금리인하를 단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 따르면 국채 선물이 반영하는 9월 50bp 인하 가능성이 33%로 파악됐다. 트레이더들은 2021년까지 연방기금 금리가 1.04%까지 떨어질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한 차례 과격한 금리인하가 단행되는 시나리오에 힘이 실린 셈이다.
연준 정책자들은 조심스러운 움직임이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 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일드커브 역전이 지속되면 적신호에 해당한다고 밝히면서도 미국 경제 펀더멘털이 탄탄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레이 달리오 브리지워터 어소시어츠 최고경영자가 2020년 대통령 선거 이전 미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을 40%로 예상하는 등 월가는 잿빛 전망을 쏟아내고 있다.
문제는 실제로 미국 경제가 침체로 빠져들 경우 과거만큼 연준의 정책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노무라는 투자 보고서를 내고“연준은 경제 펀더멘털을 과대평가하며 통화 긴축을 유지, 과거와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고 있다”며 “이보다 심각한 문제는 연준이 큰 폭으로 빠르게 금리를 떨어뜨릴 수 있지만 기준금리 자체가 낮아 인하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제프리 건드라크 더블라인 캐피탈 최고경영자도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연준은 이미 통화완화 시기를 놓쳤다”며 “앞으로 금리를 인하하더라도 침체를 막아내지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가파르게 하락하며 투자자들을 공포로 몰아 넣었던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장중 완만하게 반등했다.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2bp 오르며 1.55%에 거래됐고, 30년물과 2년물 수익률 역시 각각 3bp와 1bp 상승하며 2.01%와 1.505%를 나타냈다.
시장 전문가들은 장기물 국채 수익률의 반등이 확인되기 전까지 위험자산의 적극적인 매입을 지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