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취임 후 중국 대비 직접 투자 90% 급감
IT와 자동차, 에너지 등 주요 산업 투자부터 부동산 시장까지 한파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 이후 이른바 ‘차이나 머니’의 미국 유입이 90% 가까이 급감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해부터 본격 달아오른 무역전쟁과 트럼프 행정부의 투자 규제, 이 밖에 중국 자본 및 기업에 비우호적인 여건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중국 위안화와 미국 달러화 [사진=로이터 뉴스핌] |
22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는 관세 전면전과 상호 신뢰 저하 속에 중국 자본의 대미 투자가 사실상 마비 상태라고 보도했다.
이 때문에 미국 IT 산업을 대표하는 실리콘밸리는 물론이고 맨해튼의 노른자위 부동산 시장까지 경제 전반에 걸쳐 파장이 발생하고 있다고 신문은 보도했다.
시장조사 업체 로디움 그룹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대미 직접 투자가 54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2016년 465억달러에서 88% 줄어든 수치다.
상황은 올 들어서도 마찬가지다. 예비 조사에 따르면 연초 이후 4월까지 중국 기업의 대미 투자는 28억달러에 그쳤다.
2016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 백악관에 입성한 트럼프 대통령의 소위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과 무관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뱅커 맥킨지의 로드 헌터 변호사는 NYT와 인터뷰에서 “미국의 정책 불확실성 및 시장 진입을 둘러싼 리스크를 우려하는 투자자들이 상당수”라며 “중국 기업 및 자본의 대미 투자가 당분간 한파를 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수 년간 차이나 머니는 IT 업계는 물론이고 에너지와 부동산, 농축산업까지 미국 주요 산업 전반에 유입, 경제 성장에 직간접적인 동력을 제공했다.
하지만 대규모 관세로 인한 반미 감정 및 비즈니스 리스크와 국가 안보 문제를 앞세운 트럼프 행정부의 투자 규제로 자금 유입에 브레이크가 걸렸고, 이에 따른 후폭풍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고 NYT는 주장했다.
지난달 오사카 담판에서 협상 재개에 합의한 양국이 핵심 쟁점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는 가운데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이 보복 관세로 맞대응한 것과 같은 이치로 대미 투자에서 발을 뺄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이날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은 이달 중 베이징에서 미국 협상 팀과 회동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최종 합의가 이뤄지려면 미국이 지난해 초부터 도입한 2500억달러 수입품에 대한 25%의 관세를 전면 철회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미 재무부의 보좌관을 지낸 뒤 로펌 프리쉬필즈 브루커스 드린저에 합류한 아이멘 미르 씨는 NYT와 인터뷰에서 “중국 기업가와 자본가들 사이에 대미 투자를 꺼리는 움직임이 두드러진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 안보를 앞세워 규제를 강화한 한편 진입 장벽을 높인 결과”라고 말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