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GoGo)는 (Go Global & OnLine)의 준말입니다. 1980년대 신나게 흔들었던 '고고춤'처럼 강소기업을 향해 신나게 도전하자는 구호입니다. 글로벌화와 디지털화를 통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도약한 기업들을 들여다보고 전략을 소개합니다.
핀란드에는 고고클럽이 많다. 인구 550만명 정도로서 수출입과 해외시장 개척이 중요하다. 정보통신기술(ICT)만큼은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앞서가는 나라다. 핀란드의 기업들은 창업할 때부터 글로벌 시장을 생각한다. 인터넷과 온라인으로 발 빠르게 세계시장에 접근하는(go global & online), 소위 '고고클럽'에 속하는 기업들이 많다. 인터넷게임 '클래시 오브 클랜'을 개발한 수퍼셀이 그랬고, 모바일 게임 '앵그리 버드'를 개발한 로비오도 그렇다. 영하 40도의 추운 겨울 핀란드에는 130여개국에서 2만여명의 고고클럽 멤버들이 몰려와 '슬러시'(Slush)라는 스타트업 축제를 열고, 비즈니스모델 발표와 네트워킹을 통해 북유럽의 강추위를 녹인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1999년 핀란드를 방문했을 당시 노키아는 세계 최고의 휴대폰 메이커였다. 1999년 이후 12년간 지속된 휴대폰의 성공에 취해 애플의 아이폰을 간과했다. 2013년 노키아는 휴대폰 사업을 마이크로소프트(MS)에 매각할 수밖에 없었지만 그게 끝은 아니었다. 노키아는 네트워크 장비와 솔루션, 사물인터넷(IoT) 센서, 위치정보 서비스 등의 연관 사업에서 새로운 기회를 엿보고 있다. 제지에서 타이어로, 무선통신에서 다시 '네트워크 장비와 솔루션'으로 빠르게 사업을 전환하고 있다.
또한 핀란드는 창업국가로 거듭나고 있다. 지난 달 헬싱키에서 열린 한국과 핀란드의 스타트업 서밋에 참가한 후 둘러본 알토대학과 스타트업센터는 활기가 넘쳤다. 핀란드 경제의 20% 안팎을 책임졌던 노키아의 씨앗들이 경제 전반으로 퍼져나가 꽃을 피우고 있다. 그 결과 핀란드의 허리는 더 튼튼해졌다. 헬싱키의 오타니에미 단지는 '유럽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며, 기술혁신의 허브로서 스타트업들의 베이스캠프 역할을 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여기에 핀란드는 과학기술과 인적 자본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핀란드는 고등교육이 무상이다. 공교육비 지출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유럽 평균보다 높다. 학교수업은 토론과 체험 위주로 이루어지며 낙오자 없는 학교를 표방하므로, 수업이 어려운 아이들은 강의실 뒤쪽에서 별도로 돌봐주는 선생님에게 도움을 받는다. 그 결과 핀란드 사람들은 창의적이고 개방적이며 공동체 의식이 높다.
핀란드는 혁신성과 기술력에 있어서 다른 어느 나라에 뒤지지 않는다. 지난해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가 발표한 글로벌 혁신지수(GII)에서 7위를 차지했다. 스위스의 국제경영개발원(IMD)이 발표한 2019년 국가경쟁력 순위를 보면 핀란드 15위, 한국 28위였다.
나아가 핀란드는 요즘 IT를 넘어 바이오와 디지털 헬스케어로 한발 더 나아가고 있다. 규제 장벽과 이해 갈등에 갇혀 좀처럼 나아가지 못하는 우리에 비해 핀란드 정부는 디지털 헬스케어를 미래의 먹거리로 키우기 위해 2012년 '바이오 뱅크법'을 제정했다. 혈액·조직·세포 등의 유전정보를 빅데이터로 구축해 관련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법이다. 2017년에는 핀란드 국민 10%에 해당하는 50만 명의 유전자를 수집·분석하겠다는 '핀젠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작년에는 의료·건강 정보의 2차 이용을 허용하는 법률도 제정했다. 이로 인해 글로벌 제약사와 헬스 관련 기업들이 핀란드로 몰려들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핀란드처럼 빠른 나라, 빠른 기업이 살아남는다. 우리는 개인정보 관련 3가지 법안들이 국회에서 막혀 있다. 가명정보를 활용한 인공지능(AI), 바이오, 헬스케어, 핀테크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 관련 법안들이 하루 속히 통과되길 바란다. 요즘처럼 일자리를 늘리기 어려운 시대에 보건, 의료, 금융 등의 좋은 일자리를 유지하기만 해도 다행이다. 선진국은 물론 심지어 일본보다 뒤져 있는 개인정보 관련 법안들이 통과시켜야 비로소 희미하게 남아 있는 희망을 되살릴 수 있다. 곧 발표될 중기부의 규제자유특구도 개인정보 3법이 통과되어야 더 활성화되고 더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의 흐름과 치열한 경제전쟁 하에서 하루하루가 아쉽다.
김동열 중소기업연구원장 donykim@kosbi.re.kr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과정 수료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원 △재정경제부 장관정책보좌관 △한국금융연구원 초빙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 정책조사실 이사대우 △제6대 중소기업연구원 원장(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