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일본

속보

더보기

日자민당 독주 배경엔…청년·빈곤층의 '자기책임론'

기사입력 : 2019년07월02일 13:35

최종수정 : 2019년07월02일 13:35

[서울=뉴스핌] 김은빈 기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독주 배경에 청년과 빈곤층에서 확산되는 '자기책임론'이 있다고 2일 아사히신문이 지적했다. 

이들은 고용불안과 양극화 현상에 힘들어하면서도, 정치나 사회를 탓하기보단 개인 문제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장기집권을 이어가는 정부에 정책 책임을 묻는 목소리도 자연히 약해진다. 

여기에 야당이 제대로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점도 겹치면서, 정권을 안정적으로 이어가는 자민당에 표가 모인다는 분석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왼쪽) 일본 총리가 2019년 4월 13일 도쿄(東京) 신주쿠교엔(新宿御苑)에서 자신이 주최한 '벚꽃을 보는 모임'(桜を見る会)에서 참석자들과 손을 마주치고 있다. 이날 모임엔 유명 연예인을 포함해 약 1만8200명이 참석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내가 이렇게 된 건 내가 한 결과니까"

심야 도쿄(東京)의 번화가 긴자(銀座)의 한 브랜드숍. 화려한 옷과 가방이 늘어선 가운데 손님들이 줄지않는 플로어에 작업복을 입은 남성들이 있었다. 대걸레를 들고 해가 뜰때까지 바닥과 벽을 닦는 일을 한다. 임금은 5시간에 7000엔. 

나카무라 가쓰미(中村克·36)씨는 이 일을 6년째 하고 있다. 날이 밝아 일이 끝나면 정장을 입은 출근행렬을 거슬러 올라 숙소로 간다. 아르바이트 동료와 함께 사는 2인용 방에서 편의점 도시락과 맥주를 먹는 게 "유일한 사치"라고 그는 말한다.

고향인 도쿠시마(徳島)시의 고교를 졸업하고 처음 한 일은 도장업이었다. 야마구치(山口)현에 있는 자동차공장에서 일한 적도 있지만, 리먼쇼크로 해고돼 이후엔 도쿄에서 생활하고 있다. 

나카무라씨는 스스로를 "빈곤층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내년 도쿄올림픽이 끝나 지금의 일거리가 줄어들면 해고되지 않을까 불안감도 갖고 있다. "홈리스(노숙자)가 될지도 모른다"고 말한 그는 헬로워크(공공직업안정소)를 다니고 있다고 밝혔다. 

나카무라씨가 선거에서 찍는 정당은 자민당이다. 지지 이유에 대해 그는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른다"며 "자민당이 이끈다면 좋아지진 않아도 나빠지진 않는다"고 말했다. 

일본 총무성 조사에 따르면 2018년 비정규직 고용자는 10년 전과 비교해 350만명 이상 증가한 2120만명이었다. 전체 근로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은 약 38%로 역대 최고수준이었다. 배경에는 버블붕괴 후 고용 악화나 자민당이 추진하는 규제완화 등이 있다. 

양극화와 빈곤의 문제를 정치의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냐는 질문에 그는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내가 이렇게 된 건 내가 책임"이라고 말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장기집권에 대해서도 "재능이나 능력이 있어서 아닐까"라고 했다. 

일본 도쿄의 한 상점에서 종업원이 플랜카드를 들고 지나가는 손님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경제 격차 용인'이 늘어나다

생활이나 경제적 격차에 대한 인식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일본의 사회학자들이 전국에서 1만명을 대상으로 10년 단위로 진행하는 대규모 조사에 따르면 1995~2015년에 걸쳐 생활에 불만이 있는 사람들의 자민당 지지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시모토 겐지(橋本健二) 와세다(早稲田)대 교수의 분석에 따르면 "격차가 더 확대돼도 신경쓰지 않는다"는 사람들의 비율은 최근 10년 간 모든 소득계층에서 늘어나고 있다.

심지어 빈곤층의 증가율이 가장 높아, 빈곤층 4명 중 1명은 자신이 겪는 불이익을 수용하고 있다. 또 빈곤층의 40%는 '자기책임론'을 긍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쿄 세타가야(世田谷)구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한 남성(31)은 "세상 탓을 하기 전에 스스로를 단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물론 빈곤의 문제를 자신이 아닌 정치의 책임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그들 역시 야당에 투표할 거냐는 질문에는 고개를 젓는다고 신문은 전했다. 사이타마(埼玉)현 도다(戸田)시의 한 무직 남성(33)은 신문 취재에 "국가 책임이라는 생각도 있다"고 답했다. 그는 이번 선거에서 자민당에 투표할 생각이다.   

자녀들 대신 학비를 갚느라 힘들다는 후쿠오카(福岡)현 가와라(香春)초(町)의 한 여성(53)은 "정권을 바꾸고 싶지만 야당의 공약이 실현 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공약에 재원 근거까지 확실하게 얘기할 수 있는 정당이 있다면 투표하고 싶다고 말했다. 

요네다 유키히로(米田幸弘) 와코(和光)대 교수는 "자민당은 일본 경제가 호조였을 땐 현실을 긍정하는 이들의 지지를 받았지만, 경제가 저조해지고 개혁을 요구하는 사람들이 늘자 스스로 '자민당을 부수겠다'며 개혁정당으로 이미지를 바꿨다"며 "생활불안층, 청년층, 격차용인층 등 새로운 이들을 포섭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kebj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