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까지 혁신 국제표준 20% 달성
국제표준 300종 개발..미래차 52건 등
국제표준기구 의장단 60명 진출
[세종=뉴스핌] 김홍군 기자 = 정부가 경쟁이 치열한 4차산업혁명시대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국제 표준 선점 전략을 내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과기정통부 등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혁신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달성을 위한 ‘4차 산업혁명시대 국제표준화 선점 전략(300-60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정부는 2023년까지 전기·자율차와 에너지, 지능형 로봇, 스마트제조, 바이오·헬스, 스마트시티, 시스템반도체, 스마트 팜 등 혁신산업 분야에서 국제표준 300건을 개발, 전세계 국제표준의 20%를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세계 각국이 벌이는 치열한 표준전쟁으로 2023년까지 혁신산업에서만 1500여건의 국제표준이 개발될 전망이다.
또한 정부는 국제표준화기구(ISO, IEC, ITU) 의장단을 60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우리나라가 보유한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 수는 41명으로, 미국, 독일, 일본 등 국제표준 주도국의 50% 수준이다.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은 국제표준 제정 과정을 주도하는 등 영향력이 커 의장단 수가 늘면 우리 기술의 국제표준 선점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산업부와 표준 관계부처는 ‘300-60 프로젝트’에 따라 전기자율차 분야에서 자율주행차 긴급대응 시스템, 고속충전시스템(400kW) 등 52건의 국제표준 개발에 나선다.
수소 등 에너지 분야에서는 수소 제조·저장·계량 표준 및 충전소 안전성 표준, 발전용·건설용·운송용 연료전지 표준 등 28건을 개발해 수소경제 활성화와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지원한다.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는 진단용 렌즈프리 반도체 센서, 차량용 반도체 전원센서 표준 등 33건의 국제표준을 통해 2030년 종합반도체 강국 도약을 돕는다.
이밖에 지능형 로봇 18건, 스마트제조 27건, 바이오·헬스 41건, 드론·해양구조물 25건, 스마트시티·홈 23건, 디스플레이 39건, 스마트팜 14건 등의 국제표준 개발 목표를 수립했다.
정부는 300-60 프로젝트 달성을 위해 범부처 표준정책 거버넌스 강화, 산업정책과 표준 연계 강화, 심층기반 표준 확보, 표준화 혁신기반 조성 등 4대 전략과 11개 세부과제도 추진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우리 주도의 국제표준이라는 등대를 보유한 퍼스트 무버가 돼야 한다”며 “2023년 미국, 독일, 일본에 이어 국제표준 경쟁력 세계 4강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kilu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