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2라운드 휴전으로 추가 관세 최악의 시나리오 모면 기대
시 주석 방북에서 어떤 협상 카드 건질 것인지 변수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화통화를 갖고 이달 말 일본에서 회동하기로 했다.
시 주석이 방북 계획이 전해진 가운데 나온 소식이라는 점에서 주목되는 가운데 금융시장은 축포를 터뜨렸다.
하지만 핵심 쟁점을 둘러싼 이견은 여전한 상황. 지난해 12월1일 무역 휴전을 합의했던 아르헨티나 회동 이후 첫 담판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아울러 당시보다 이번 상황이 더욱 험로라는 지적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블룸버그] |
18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전화통화로 매우 훌륭한 대화를 나눴고, 일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회담에서 협상을 갖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중국 신화통신은 양국 정상의 전화통화가 백악관 측의 요청에 의해 이뤄진 것이라고 보도했다.
최근까지 추가 관세를 경고했던 백악관이 시 주석의 방북 결정 이후 먼저 중국 측과 대화를 시도한 사실이 흥미로운 대목이라는 평가다.
지난달 10일 미국의 관세 인상 이후 화웨이에 대한 보이콧과 중국의 보복 움직임까지 일촉즉발의 상황에 일단 반전이 이뤄졌다는 해석이다.
문제는 진전을 이루고 있던 무역 협상에 난기류를 일으킨 핵심 쟁점을 둘러싼 이견이 여전하고, 이달 말 양국 정상회담에서 극적인 돌파구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중국 CCTV에 따르면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경제 및 무역과 관련한 사안을 양국의 동등한 대화를 통해 풀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미국이 중국 기업을 공정하게 대할 것을 요구했다.
화웨이와 70여개 자회사를 거래 금지 대상으로 지정하고, 국제 시장에서 고립시키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움직임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G20 회담을 일주일 앞두고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만나는 시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을 만족시킬 만한 협상 카드를 마련, 화웨이 압박 중단과 지난달 시행한 관세 인상 철회 등을 요구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하지만 미국 측의 수용 여부를 장담하기는 어렵다. 이날 워싱턴의 정책자들 사이에 매파 발언이 쏟아졌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상원 금융위원회 증언에서 “관세만으로 중국의 불공정한 행위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기 어렵다”며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중국과 대화가 해법이 될 수는 없다는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같은 목소리를 냈다. 그는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미국은 중국의 구조 개혁과 합의안 이행을 강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중심으로 논의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의 실행을 확신할 수 있는 합의안 마련이 관건”이라며 “양국 정상회담 재개가 의미 있는 일이지만 누구도 결과를 예측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는 동등한 입지에서 대화를 요구하는 시 주석의 입장과 상충한다는 것이 외신들의 판단이다. 정상들의 전화 통화로 교착 국면에 빠졌던 무역 협상이 재개될 예정이지만 담판이 매끄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G20 회담에 앞서 양국 협상 팀이 주요 쟁점에 대한 논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 뉴욕타임스(NYT)는 지적재산권 침해와 IT 기술 강제 이전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한 해법 모색이 시도되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미 상공회의소의 마이런 브릴리언트 국제 문제 담당 헤드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 “최종 합의에 도달하려면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해법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3000억달러 물량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G20 합의 직후 결정할 뜻을 밝힌 바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달 말 양국 정상회담이 지난해 12월에 이어 또 한 차례 휴전을 결의, 모든 중국 수입품에 관세가 시행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모면하는 데 기대를 걸고 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