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마켓·금융

속보

더보기

청명절 맞은 중국, 장례 산업 '고수익 산업'으로 재조명

기사입력 : 2019년04월05일 16:44

최종수정 : 2019년04월05일 17:28

2020년, 장례 산업 84조원 규모 전망
푸청그룹, 매출총이익률(GPM) 87.96%에 달해
중국 묘지난 심각, 대도시 묘지 1㎡당 수천만원 호가

[서울=뉴스핌] 김은주 기자 = 조상의 묘를 찾아 제사를 지내는 중국의 4대 명절 청명절(4월 5일)을 맞아 장례 산업이 막대한 성장 잠재력을 지닌 고수익 업종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이 본격적으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장례 산업은 고속 성장을 구가 할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중국의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11%인 1억 5831만 명으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UN(국제연합)은 한 국가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를 넘어서면 고령화 사회로 규정하고 있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장례 산업의 규모는 이미 1320억 위안(약 22조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된다. 업계에선 중국의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오는 2020년이면 장례 업종 규모가 5000억 위안(약 84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바이두]


◆ 장례 업종, 고수익 업종으로 각광

중국의 장례 서비스 관련 업체는 우후죽순 격으로 늘어나면서 2017년 기준 4132개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부 중국 장례 업체들은 높은 수익성과 성장 잠재력을 바탕으로 증시 상장에도 성공 했다.

그 중 푸청그룹(福成集團)과 융안임업(永安林業)은 중국 본토 A주 시장에 입성했다. 또 홍콩 거래소에 상장된 장례 업체는 푸서우위안(福壽園), 중국생명그룹(中國生命集團) 등 총 6개 업체로 집계된다.

장례 업계 선두주자는 홍콩 상장사 푸서우위안이다. 푸서우위안은 중국 최대 장례 업체로 작년도 매출액은 16억 5100만 위안(약 2792억원)으로 전년 대비 11.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6억 1500만 위안(약 104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9% 상승했다.

푸서우위안의 주력 사업은 공원 묘지 서비스, 장의 서비스로, 이중 공원 묘지 서비스의 매출 비중은 전체의 86.4%에 달한다. 지난해 푸서우위안의 도시 주민 대상 묘지 단가는 10만 위안(약 1693만원)을 돌파했다.

또 다른 업체 중국생명그룹의 지난해 매출액은 6266만 7000위안(약 105억원)으로 전년 대비 3.23% 증가했다. 홍콩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중국생명그룹은 장의부터 화장, 묘지 매장까지 장례 관련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엔 베트남 등 해외 시장 진출에 가장 앞장서고 있다.

업계 후발 주자인 푸청그룹도 장례 사업으로 높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현재 푸청주식(福成股份, 600965.SH)으로 상하이 증시에 상장돼 있다.

원래 양우(養牛) 사업으로 출발한 푸청그룹은 2015년에야 한발 늦게 장례 시장에 뛰어들었다.기존 양우 사업에서 막대한 적자가 발생하자 주력 업종을 바꿨다.

2018년 푸청그룹의 장례 사업 매출액은 전년 대비 14.70% 증가한 2억 6000만 위안(약 44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푸청그룹의 장례 사업 매출총이익률(GPM)이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GPM는 87.96%로 A주의 대장주인 구이저우마오타이(貴州茅臺)의 GPM 91.14%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의 묘지난…살아선 집 걱정, 죽어선 죽을 자리 걱정

중국에서는 묘지 구하는 일이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렵다. 이 때문에 “살아서는 집 걱정하고, 죽어서는 죽을 자리를 걱정한다”는 말도 나온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중국은 매장 위주의 장례 문화이지만, 죽은 사람이 묻힐 묘지 면적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수요는 늘어나는 반면 정부에서 묘지 면적을 제한해 공급 확대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베이징은 묘지 사용 면적을 줄이기 위해 지난 10년간 공원 묘지를 추가로 늘리지 않고 있다. 현재 베이징 공공 묘지 34곳 중 18곳은 이미 포화상태에 도달했다. 업계에선 남은 묘지도 50년 후면 사용이 완료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진=바이두]

이런 가운데 묘지 가격은 천정 부지로 치솟고 있다. 상하이 등 대도시의 1㎡당 묘지 가격은 수십만 위안, 우리 돈 수천만 원을 호가한다. 상하이의 1㎡짜리 묘지의 평균 가격은 6만 위안(약 1015만원)에 달한다. 베이징의 교외지역 창핑(昌平)구는 1㎡ 묘지 평균 가격이 3만 위안이지만, 도심에 가까운 6환 이내는 상하이처럼 6만 위안에 이른다.

입지조건이 좋은 공원 묘지는 수십만 위안을 넘는 것도 적지 않다. 여기에 장례비나 묘지 관리비 등까지 포함하면 몇 배의 비용이 추가 발생한다.

중국 정부는 묘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소화, 친환경 장례 문화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구이저우(貴州)성 구이양(貴陽)시의 경우 화장, 수목장 등을 하는 가족에게 보조금 2000위안(약 33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eunjookim@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