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인프라 건설로 대형 국영건설사 주목
양로 서비스 육성책에 관련 테마주 관심 증폭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중국 최대 정치 이벤트인 양회(兩會)가 개막하면서 중국 증시가 들썩이고 있다. 매년 양회에서는 산업 육성 방안, 경기 부양책 등 향후 시장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정책들이 발표되면서 관련 테마주들은 시장의 주목을 받는 한편, 증시 전반의 상승을 견인하는 ‘모멘텀’이 되고 있다.
중국 매체 증권시보(證券時報)에 따르면, A주 시장은 지난 10년간 양회 기간(3월 3일~15일)에 평균 7.5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같은 기간 양회 종료 후 5 거래일간 증시가 상승한 비율은 70%에 달했다.
올해 중국 당국은 전인대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기업 부담 경감을 위한 증치세 인하 △ 내수 소비 확대를 위한 양로 서비스 정책 △제조업 업그레이드를 위한 산업 인터넷 구축 등 다양한 정책을 쏟아냈다. 당국이 이번 양회를 통해 내놓은 정책 방안에 따른 투자 기회를 살펴본다.
![]() |
중국은 13기 전인대에서 경기 하강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감세 정책’이란 카드를 내놓았다. 특히 제조업 등에 대한 부가가치세(증치세)를 낮추는 등 경제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리커창 총리는 올해 감세 중점 대상으로 제조업과 소기업, 영세기업을 지목했다. 당국은 제조업체 등에 부과된 증치세율(부가가치세율)을 기존 16%에서 13%로 내릴 계획이다. 또 운수, 건설 업종의 부가가치세율은 10%에서 9%로 낮아진다.
민생(民生)증권은 증치세 인하에 따라 정유 및 석유화학, 건설,발전, 공공사업 분야 기업들의 수익성이 제고될 것으로 내다봤다.
감세 정책외에도 경기 진작을 위해 올해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철도건설 및 도로건설과 수륙교통 시설 구축에 각각 8000억위안, 1조 8000억위안이 투입될 예정이다. 당국은 이를 위해 재정적자율을 2.8%로 확대하고 대규모 지방채권을 발행한다는 계획이다.
안신(安信)증권은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로 △ 인프라 건설 수주 역량이 큰 대형 국영건설사 △지방교량 구축 전담 건설사△ 민간 기업 대출 시행 수혜사 △ 생태원림 건설사 등을 주시하라고 투자자들에게 조언했다.
![]() |
양회 관련 정책 테마주 |
당국은 또 내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양로 산업 육성 계획과 신에너지차 구매 우대 정책을 유지한다는 방안을 내놓았다.
리 총리는 60세 이상에 달하는 2억5000만명의 노인 인구를 겨냥해 양로서비스업을 발전시키기로 하고 세제 감면, 상수도 요금 지원 등의 우대책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흥업(興業) 증권은 “향후 5~10년간 양로 서비스 산업의 황금기가 도래할 것”이라며 “오는 2020년까지 전국에 1250만개의 양로 시설 침상이 공급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 기관은 또 “양로시설 시장 규모는 오는 2020년이면 7500억위안에 달할 것”이라며 향후 '자택형 양로시설'이 시장의 주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민영 경제의 근간인 자동차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신에너지차 구매 우대정책을 유지한다는 방안도 마련됐다.
광대(光大) 증권은 “올해 신에너지차 판매가 약 40% 증가할 것”이라며 △배터리 분야 선두 업체, △배터리 소재 업체, △신에너지차 차량 경쟁력을 갖춘 완성차 업체를 수혜 종목으로 지목했다.
기업들의 정보 ‘신경망’인 산업 인터넷(Industrial Internet) 구축 방안도 정부 업무보고서에서 거론됐다.
리 총리는 전통 제조업의 업그레이드를 촉진하기 위해 ‘스마트+’정책을 내놓았다. 당국은 산업 인터넷 플랫폼 구축을 통해 제조업 설비 업그레이드 및 타 업종과의 시너지 효과를 촉진하다는 계획이다.
국해(國海)증권은 “중국 산업 인터넷 시장은 오는 2020년까지 조단위 규모로 확대될 것”이라며 “데이터 수집,인터넷플랫폼, 산업용 인터넷 앱 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수요가 생성되면서 자동화설비, 산업용 소프트웨어 등 업종이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심각해져가는 환경오염을 위한 해결책도 정부 업무보고에서 제시됐다.
당국은 친환경 산업의 발전을 가속화하는 한편, 업계를 주도하는 대형 환경업체를 육성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또 환경 개선을 위해 재래식 발전 형태를 바꾸고 물류 수송 차량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이와 관련, 안신(安信) 증권은 “폐기물소각 발전 업종의 수익성이 보장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관련 종목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또 “환경모니터링 업종은 시장 수요 확대로 오는 2020년까지 439억위안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진단했다.
dongxu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