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중심지법에 따른 2023년까지 인력 수급 조사 결과
장기 추세는 금융일자리 83만개서 86만개로 증가
단 전북 금융중심지 지정할 만큼 일자리 늘지 않아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향후 5년간 금융산업 인력이 금융업 성장률에 따라 매년 최대 4500여명 증가 혹은 매년 3100여명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금융업 성장률이 타 산업을 넘어설 경우 증가하지만 반대로 성장률이 타 산업대비 상대적으로 떨어질 경우 감소할 것이란 분석이다.
최근 서울, 부산에 이어 제3의금융중심지 신규 지정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금융권에선 금융업 일자리가 늘어나더라도, 제3의 금융중심지가 신규 지정될 수준의 인력 수급 상황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금융중심지의 조성과 발전에 관한 법률(금융중심지법)’에 근거해 한국금융연구원에 연구용역을 준 ‘금융인력 기초통계 분석 및 수급전망’ 보고서가 지난 1월 마무리됐다. 이번 연구는 금융중심지 강화 및 확대에 따른 금융인력 현황과 전망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2018년8월~2019년1월 사이 금감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등록돼 있는 은행, 증권, 보험, 저축은행, 여신전문 신협 등 7개 업권 1483개 금융사를 대상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향후 5년간 금융업의 성장세와 함께 일자리도 일정부분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간 금융업 부가가치 성장률이 타 산업을 앞서왔고, 금융인력 수요도 동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업 부가가치는 2001년 이후 연평균 5.38%씩 성장하며, 우리나라 전 산업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1년 5.54%에서 작년 9월말 기준 6.34%로 타 산업을 앞질렀다. 이 기간 업종 성장률 대비 고용 증가율을 보여주는 고용탄력성은 약 0.13 수준. 금융업에서 부가가치가 1% 늘어나면 취업자수는 0.13% 늘어났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수 있다고 봤다. 금융업의 부가가치 비중도 2019년 6.43%, 2023년 6.80%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취업자수도 늘어 올해 84만3819명에서 매년 4530명씩 증가, 2023년 86만1973명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지금보다 총 1만8154명 늘어나는 셈이다.
다만 금융업 성장률이 타 산업과 동등하게 유지될 경우, 금융 취업자 수는 매년 2931명 늘어나는데 그쳤고다. 만일 금융업 성장률이 타 산업대비 떨어지게 되면 매년 3111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금융위는 이 보고서를 금융중심지 조성과 발전에 필요한 인력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금융전문인력 양성시책 수립시 제도개선이나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금융권에선 금융업이 타 산업을 뛰어넘는 성장률을 보여 인력이 늘어도 제3의 금융중심지를 새로 만들 정도까진 아니라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현재의 1, 2금융중심지인 서울 여의도와 부산을 강화하는 정도의 인력 규모라는 의미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서울과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선정된 지 10년이나 지났는데 인프라만 갖췄을 뿐 내실이 여전히 부족하다”면서 “최근 중국 선전이나 상하이, 이스라엘 텔아비브, 독일 베를린처럼 특정 지역에 국가의 지원을 쏟고 핀테크산업을 결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전해왔다. 최종구 금융위원장도 지난해 송년회에서 “서울과 부산이 이미 지정돼 있는 현실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다소 부정적인 뉘앙스를 드러냈다.
한편 현재 부산 금융중심지에는 한국거래소, 캠코, 예탁결제원, BNK금융그룹 본사, 기술신용보증기금 등 29개 금융회사가 상주하고 3800명 안팎의 인력 규모를 갖추고 있다. KB금융그룹, 하나금융그룹, 우리금융그룹, 신한금융그룹, NH농협금융그룹 등 주요 금융회사들은 아직 들어오지 않은 상태다.
hkj7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