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에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 회의 예상
부산 금융중심지 10년, 인프라 확충 성과 내실 과제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금융당국이 서울, 부산에 이은 제3 금융중심지 선정을 두고 막판 숙고에 들어갔다.
최종구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15일 부산금융중심지 10주년 기념식이 열린 부산국제금융센터에서 기자와 만나 “금융연구원의 제3금융중심지 연구용역보고서를 보고받았고, 막판 검토할 것이 남았다”면서 “아직 금융중심지를 선정할 지 여부는 결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전북의 제3 금융중심지 선정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으로 당선 후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시켰다. 타당성 연구용역을 금융연구원이 ‘금융중심지 추진전략 수립 및 추가지정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로 수행했고, 지난달 말 그 결과를 금융위에 보고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15일 부산국제금융센터에서 열린 부산 금융중심지 10주년 기념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금융위] |
금융위는 당초 2주정도면 보고서 검토가 마무리될 것으로 봤으나, 다소 오류가 발견돼 늦어지고 있다.
연구보고서는 크게 세 가지 주제다. △서울 부산 금융중심지의 지난 10년간 성과와 향후 과제 △금융중심지 신규 지정 검토 필요성 △전북혁신도시 상황과 금융중심지로서의 타당성 등이다.
금융위가 보고서 검토를 마치고 이를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에 전달하면 곧바로 전북을 3금융중심지로 선정할 지 검토를 들어간다. 이달 안에 보고서 검토가 마무리될 전망이어서 3월이면 금융중심지추친위원회가 회의를 열 것으로 보인다.
금융중심지추친위는 금융위 산하 기구로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정부, 유관기관 민간인사 등 총 21명으로 구성된다. 위원회에서 제3금융중심지 지정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오면 지방자치단체의 신청을 받아 금융위가 최종 지역을 선정한다.
금융위는 제 3금융중심지 선정 사안이 정치적, 지역적으로 워낙 민감한 이슈다보니 숙고를 거듭하고 있다. 부산은 물론 서울도 금융중심지로 자리매김했는지 대한 증거도 없다. 서울과 부산의 국제금융센터지수(GFIC) 순위는 33위, 46위에 그친다. 금융중심지가 부산 경제를 기반을 성장했다는 확신도 없다. 부산의 금융산업(GRDP) 비중은 2011년 7.4%에서 2016년 6.5%로 하락했다.
하지만 금융중심지가 불과 10년만에 이뤄낼 수 없는 수십년이 소요되는 일이란 점, 당장 성과를 논하기에는 무리라는 게 금융위 시각이다. 최종구 위원장은 “부산 문현지구는 2009년 1월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이후, 거래소, 캠코 등 금융공기업에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 교육연구원, AfDB 연차총회, IDB-IIB총회 등 국제회의를 개최해 글로벌 금융도시로 발판을 마련했다”면서 “외형적 물적 인프라 대비 내실 있는 성장을 할 때”라고 했다. 부산시도 ‘새로운 10년 금융중심지 추진전략’을 내놨다.
전북 혁신도시가 금융중심지로 선정되면 부산에 유치할 금융회사들을 빼앗길 수 있다는 지역 갈등 우려도 표면화되거나, 양 도시가 입장차이를 드러내지 않았다. 유재수 부산광역시 경제부시장은 “10년전에 부산에 금융회사를 이전하겠다고 할 때 좁은 국토에 또 다른 중심지가 필요하냐는 반대가 있었지만, 지금은 잘되고 있다”면서 “제3금융중심지에 대한 부산의 스탠스에 대한 의견을 모으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hkj7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