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콘리뷰] H.O.T 콘서트, 17년 만에 다시 그곳에서…"H.O.T 포에버"

기사입력 : 2018년10월14일 12:14

최종수정 : 2018년10월14일 12:14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다시 돌아오겠다고 외쳤던 H.O.T가 17년 만에 약속을 지켰다. 마지막으로 섰던 그 공연장에서 팬들과 다시 함께했다.

H.O.T는 13일 서울 송파구 잠실동 서울올림픽경기장 주경기장에서 ‘2018 포에버 하이파이브 오브 틴에이져스 콘서트(2018 HighFive Of Teenagers Concer)’를 개최했다. 이번 콘서트는 13~14일 양일간 진행되며, 총 10만명의 관객이 모일 예정이다.

H.O.T 콘서트 [사진=PRM]

이날 H.O.T 멤버들은 공연의 시작을 알리는 강렬한 밴드 사운드와 함께 등장, ‘전사의 후예-폭력의 시대’로 포문을 열었다. 첫 곡이 끝난 후 이들은 곧바로 ‘늑대와 양’으로 분위기를 달궈가기 시작했다.

강타의 흔들림 없는 보컬, 장우혁의 강렬한 래핑과 다른 멤버들의 완급조절은 가히 완벽했다. MBC ‘무한도전-토토가’때보다 완벽한 합을 선보이며 객석을 가득 채운 팬들을 위해 그 어느 때보다 열정적인 무대를 선보였다. 5명의 멤버들은 ‘투지(Get It Up)’로 추위가 빨리 찾아온 가을 야외 공연장을 후끈 달아오르게 했다.

세 곡을 연달아 소화한 멤버들은 메인무대에서 중앙 무대로 이동, “안녕하세요”라는 짧은 인사를 건넨 뒤 무대를 바라보며 ‘더 웨이 댓 유 라이크 미(The Way That You Like Me)’로 감미로운 무대를 선사했다.

멤버들이 퇴장하고 암전이 된 무대의 VCR에서는 활동 당시 멤버들의 모습이 흘러나와 추억을 회상하게 했다. 그리고 문희준이 등장, ‘아웃사이드 캐슬(Outside Castle)’을 시작했다. 이들의 공연에는 쉴 틈이 없었다. 잠깐의 의상 체인지 후 ‘열맞춰(Line Up)’ ‘아이야(I yah!)’로 열기를 더했다.

H.O.T 콘서트 [사진=PRM]

이어 H.O.T 멤버들은 각자 본격적인 인사를 건넸다. 특히 리더 문희준은 “17년 전과 같은 장소지만 너무 오래 걸려 돌아온 것 같다”며 남다른 소감을 전했다.

이그는 “그때 그 공연장에서 대표로 제가 이야기했던 것 중에, ‘저희는 절대 떨어지지 않겠다’라는 말을 했다. 17년이라는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 것에 대해 죄송한 마음이 앞선다. 하지만 우리가 17년간 추억을 못 쌓은 만큼, 오늘 많은 추억을 가지고 돌아가셨으면 좋겠다. 17년 전에 했던 말을 지킬 수 있게, 저희를 지켜주셔서 너무 감사하다”고 말했다.

장우혁은 “여기서 여러분들을 보고 있으니까 믿기지 않는다. 정말 감격스럽다”고 덧붙였다. 토니안 역시 “아직 실감이 많이 나지 않는다. 멤버들 모두 저와 같이 꿈만 같을 것 같다. 정말 끝까지 좋은 시간 보내고 가시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기대했다.

마지막으로 이재원은 “소중한 선물이 되길 바라는 마음이고, 좋은 시간 보내고 가셨으면 좋겠다”고 소망했다.

H.O.T 콘서트 [사진=PRM]

17년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려 팬들과 다시 만난 만큼, H.O.T 멤버들은 이번 공연을 알차게 꾸몄다. 단체 무대와 더불어 멤버들의 개인 무대도 펼쳐졌다. 첫 번째 주자인 강타는 팝송 ‘라이트 히어 웨이팅(Right Here Waiting)’으로 감미로운 명품 보이스를 뽐냈다.

장우혁은 ‘시간이 멈춘 날+지지 않는 태양’을, 토니는 이날 공개된 신곡 ‘H.O.T knight’을 선보였다. 또 문희준은 ‘Pionner’, 이재원은 ‘아임 소 핫(I'm So Hot)’과 더불어 장우혁·토니안과 JTL로 활동 당시 발매했던 ‘어 베러 데이(A Better Day)’을 열창했다.

개인 무대가 끝난 후 다시 한번 완전체 무대가 이어졌다. H.O.T 만큼이나 팬들의 열정 또한 대단했다. 당시 외쳤던 응원법을 그대로 외치며 무대에 오른 H.O.T를 향한 애정을 드러냈다.

H.O.T 콘서트 [사진=PRM]

이들은 ‘환희(It's Been Raining Since you let go)’, ‘너와 나’를 선보였다. ‘너와 나’가 끝난 후 장우혁은 “이게 실제인지, TV를 보고 있는 건지 헷갈릴 정도로 감격스럽다. 이렇게 많은 분들이 오셨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며 벅찬 감정을 드러냈다.

이재원은 “새로운 페이지를 써 나가는 시작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강타는 “저희 얘기를 통하지 않은 보도들을 접하게 하셨을 때, 죄송한 마음이 컸는데 이 자리에 함께 모일 수 있어서 기쁘다. 앞으로도 이렇게 자주 모였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문희준은 “연습실에서 ‘우리 영원히 함께 하자’라는 말을 자주 했다. 그게 우리들의 맹세였다”며 다음 곡에 대한 스포를 던졌다.

H.O.T는 ‘우리들의 맹세(The Promise of H.O.T)’, ‘행복’ ‘내가 필요할 때’, ‘위 아 더 퓨처(We Are the Future)’로 공연의 마지막을 알렸다.

공연장을 흰 물결로 가득 채운 팬들은 한마음 한뜻으로 ‘앙코르’를 외쳤고, 다시 무대에 오른 멤버들을 향해 우레와 같은 함성을 내질렀다. 마지막으로 H.O.T는 ‘GO! H.O.T.!’, ‘캔디(Candy)’, ‘빛(Hope)’으로 무대를 장식했다. 멤버들과 팬들은 공연 중간에도 계속해서 ‘H.O.T Forever’ ‘사랑한다’란 말을 외치며 영원한 마음을 드러냈다.

alice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