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명 "연내 금리 올리기 어렵다"...국내 경기 부진
3명 "금리 올릴 것"...가계부채 · 한미 금리차 확대
[서울=뉴스핌] 민지현 기자 = 경제학과 교수, 채권 펀드매니저, 애널리스트 등 전문가 11명 중 8명이 오는 10월 금통위가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경기 특히 내수 둔화가 심상치 않기 때문이란 이유다. 특히 이들중 4명은 연내 금리를 올리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핌이 지난 20~21일 채권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10월 금통위의 선택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8명이 기준금리 동결을, 3명이 인상을 각각 예상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OECD도 어제 2.7%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낮췄고 산술적으로도 2.9% 성장은 어렵다"며 "성장률 2.8%로 하향하고 물가도 1.5~1.6%으로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이어 "현재 나오는 논거들이 인상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통화정책방향 문구나 지난달 총재의 좀 더 지켜보겠다는 발언, 의사록에서도 금리 인상의 시급성이 나타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10월 인상은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8월 금통위 의사록으로 판단했을 때 10월에 소수 의견이 조금 더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작년 공공가스 요금 인하한 것에 대한 기저효과로 물가도 10월보다 11월이 확실히 보이는 부분이 있다"며 "지표상, 정책적 부담상 (금리를 인상한다면) 10월보다는 11월이 낫다고 본다"고 진단했다.
최성호 우리은행 WM전략부 ISA 일임운용역도 "내외 금리차 확대와 부동산 가격 급등 문제는 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는 요인이지만 한국의 내수 여건 자체가 금리 인상을 감당할 만큼 체력적으로 강하지는 못하다"며 "9월 고용지표가 관건이다. 국내 경기 회복 여건에 따라 금리 인상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선 부국증권 연구원은 "최근에 이낙연 총리가 금리 인상에 대해 심각하게 고려해봐야 한다고 얘기했는데 이 발언이 있고 나서 첫 회의가 10월"이라며 "10월에 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 외부압박 때문에 금리 올린 것 같은 모양새가 되므로 11월에 금리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금리 인상 가능성 높아 졌으나 올해는 인상 힘들어
한편 올해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할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기본적인 시나리오는 연내 동결로 보고 금리 인상 시점은 내년 4월이다"고 봤다. 그는 "이낙연 총리가 금리 관련 코멘트를 하셨고 정부에 정책 공조를 요청하는 발언이다보니 한은의 11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있다"면서도 "8월 금통위 이후 펀더멘탈에 대한 변화 등 대내 상황 변화가 크게 없기 때문에 금리 인상 명분 찾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도 고용 부진과 성장률 둔화를 고려했을 때 여전히 10월, 11월 모두 인상이 힘들 것으로 봤다. 다만 최근 한은에서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를 언급하며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언급했다.
이미선 연구원은 "한은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저금리 영향으로 부동산 가격이 오른 측면이 있다는 언급이 있었다"며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뉘앙스의 보고서를 낸 것이라서 연내 동결을 보고 있긴 한데 인상될 가능성이 좀 더 높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 역시 "최근 청와대나 정부 쪽에서 금리 인상에 대한 얘기들이 있었지만 현재 내수 경기가 좋지 않기 때문에 부동산만 보고 금리 인상 하기는 쉽지 않다"며 "금융 안정을 위해 한번 정도 인상해야 한다는 점이 납득은 되지만 지표들로 봤을때 올해와 내년 모두 힘들다"고 진단했다.
성태윤 연대 경제학과 교수도 "현재 상황에서는 경기로 봤을 때 금리 올리기 어려운 상황인 것은 사실이다"면서도 "다만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이후 상황을 보고 결정해야한다. 한은의 고민이 깊어갈 수 밖에 없다"고 평가했다.
◆ 가계 부채, 한미 금리 격차 등 금융안정 측면에서 10월 인상해야
다음달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을 전망하는 전문가들의 핵심 근거는 금융 안정성이다. 또한 이주열 총재가 금리 인상 조건으로 제시하는 잠재 성장률 수준의 성장세와 2%의 물가 수준이 달성 가능하다는 점을 들었다.
김상훈 KB증권 연구원은 "한은 목표를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으로 나눠 봤을 때, 일단 물가 쪽이 현재 높진 않은데 10월 이후 부터는 조금씩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가계 부채나 한미 금리차 확대 등 금융안정 측면에서도 인상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성장률이 하향 조정돼 봐야 잠재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을 거고 물가는 규제 물가 등으로 인해서 낮아졌지만 점차적으로 2%에 근접할 것"이라며 "이러한 전망이 유효한 상황에서 금융안정 필요성이 더 강화된 점이 결국은 10월 금리 인상 전망으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했다.
신 연구원은 최근 10년물 기준으로 한미 금리 역전 폭이 사상 72bp(1bp=0.01%포인트)로 사상 최고치까지 확대됐던 점을 지적했다. 그는 "미국이 두번 금리 인상하고 우리나라 금리가 따라가지 않는다면 재정 거래 유인이 사라지고 외국인 자금 이탈 가능성이 부각될 것"으로 우려했다.
박성우 흥국증권 연구원도 "경제 성장률을 2.8%로 낮춘다고 해도 2.8~2.9%면 잠재성장률 수준이다. 물가도 지금은 좀 낮지만 점차 상승하고 있다"며 "기준금리 당연히 조정해야 할 시기인 것도 맞고 계속 금통위에서 얘기 나오는데 저금리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jihyeon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