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총파업 찬반투표…9일 결과 발표
사측 "임피가 핵심쟁점…입장 좁히기 위해 노력"
노측 "파업이 최종 목표는 아냐…사측과 대화 계속"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의 총파업이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갔다. 금융산업 사측과 노측이 임금피크제 조정·정년 연장, 주52시간 근무제의 구체적인 방안에서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7일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체 조합원 대상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한다. 금융노조는 오는 9일 투표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전체 조합원 과반수가 찬성하면 내달 중순 경 총파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지난 2016년 이후 2년 만이다.
지난 2016년 금융노조 총파업 당시 [사진=금융노조] |
금융노조는 찬반투표에 앞서 산별교섭 사측 대표단인 KB국민은행, 신한은행, NH농협은행, 부산은행 등을 방문했다. 또 지난 6일엔 김태영 은행연합회장(사용자협의회장)을 만나 요구안 수용을 촉구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현재 사측과 노측의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고 있는 부분은 임금피크제와 정년 조정인 것으로 전해진다. 사측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정년을 만 63세로 연장하고 임금피크제 진입 시점도 2~3년 늦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관계자는 "핵심쟁점인 임금피크제 부분에서 간극이 크다"며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전했다.
노측은 임금피크제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지만 중앙노동위원회(이하 중노위)의 조정안이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성낙조 금융노조 수석부위원장은 "중노위가 조정안 자체를 공개적으로 내놓지 못했지만 조정안을 제안한 것이 있다"며 "중노위의 조정안이 결국 기준이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아울러 양측 모두 주 52시간 근무제 조기 도입 필요성에 대해선 공감하지만 세부안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사측은 정보기술(IT), 인사. 예산 등을 특수직군(예외 직무)으로 분류해 유연·탄력근무제를 적용하자는 입장이다. 반면 노조 측은 특수직군 분류 없이 전 직원을 대상으로 주 52시간 근무제를 도입하고 부족한 인력은 신규 인력 채용으로 해결하자는 입장을 고수한다.
다만 양측 모두 "이견을 좁히기 위해 노력할 것"이란 입장인 만큼 총파업 전 타협안을 도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김태영 은행연합회장(사용자협의회장)은 금융노조의 총파업 찬반투표에 대해 "노조와 대화를 계속 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조남홍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사무총장은 "노측과 실무적으로 얘기를 진행하고 있고 사측끼리도 대화도 하고 있다"며 "주52시간 근무제는 조기에 도입하자는 데 큰 틀에서 서로 공감을 했고 구체적인 내용들도 좁혀가고 있으니 충분히 합의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낙조 금융노조 수석부위원장도 "양측 모두 파업까지 가서는 안되지 않느냐는 부분에 대한 공감은 있다"면서 "총파업이 최종 목적은 아니기 때문에 사측과 대화를 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금융노조는 지난 4월 실시한 첫 산별중앙교섭에서 △노동시간 단축과 채용확대 △정년과 임금피크제도 개선 △핵심성과지표(KPI) 제도 개선 △노동이사제 도입 등에 대한 요구안을 사측에 제시했다. 양측은 25차례 교섭을 벌였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노조는 지난달 18일 중앙노동위원회(이하 중노위)에 조정을 신청했다. 하지만 중노위는 3차에 걸친 조정회의에도 중재안을 도출하지 못하고 결국 조정중지 결정을 내렸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