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구조된 유기동물 10만 여 마리...절반은 안락사·자연사
구조된 뒤 10일 간 주인 찾지 못하면 생사의 갈림길 놓여
여름휴가 기간 유기동물 증가로 유기동물 안락사도 급증
[서울=뉴스핌] 구윤모 기자 = 지난 1일 고양시 동물보호센터에서 작은 기적이 일어났다. 안락사·자연사 위기에 놓인 유기견이 새 주인을 만났다. 지난달 15일 길에 버려진 채 발견된 페키니즈 종의 이 유기견은 이전 주인이 방치한 탓에 각종 질병을 앓고 있었다. 호흡기 질환, 피부병은 물론 관절과 치아상태 모두 좋지 않았다. 다행히 센터 수의사와 사양관리사들의 보살핌 속에 조금씩 건강을 되찾았지만 새 주인을 만나지 못하면 안락사되거나 자연사할 확률이 높았다. 더욱이 여름휴가 기간 버려지는 유기동물 수가 증가하면 센터도 수용두수 조정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 때문에 이 작은 생명에게 부여된 시간은 그리 길지 않았다.
유기견을 입양한 이은미(56)씨는 "계속 입양이 안 되면 안락사될 확률이 높다는 이야기를 듣고 서둘러 센터를 찾았다"며 "아이가 많이 아프지만 생명을 다할 때까지 사랑으로 보살필 것"이라고 말했다.
이씨에게 입양된 페키니즈는 운이 좋았다. 센터 관계자들은 이런 경우가 흔치않은 일이라는 입을 모았다. 실제로 주인에게 버려진 나이 많고 건강이 안 좋은 유기동물들은 대부분 입양되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현실이다.
[서울=뉴스핌] 구윤모 기자 = 지난 8월 1일 고양시 동물보호센터에서 새로운 주인을 만난 유기견의 표식. 2018.08.01 |
반려동물 인구 1000만 시대를 맞아 유기동물 수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버려지는 동물의 절반가량이 자연사나 안락사로 생을 마감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부 차원의 대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6월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발표한 '동물의 보호와 복지관리 실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구조된 유실・유기동물은 10만2593마리다. 2015년 8만2100마리, 2016년 8만9700마리와 비교하면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들 중 절반가량인 47.3%가 사람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죽었다. 지난해 자연사와 안락사 비율은 각각 27.1%, 20.2%였다. 2016년 44.2%(자연사 25%, 안락사 19.2%)와 비교하면 3% 넘게 증가했다. 전체 유기동물 수가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실제로 생명을 잃은 수는 더 많은 셈이다.
반면 주인에게 인도된 비율은 지난해 14.5%로 2016년 15.2%에 비해 0.7%P 감소했다. 분양 비율도 30.4%에서 30.2%로 소폭 하락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현행 동물보호법상 구조된 유기동물은 열흘간 공고 기간을 거친 뒤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지자체로 소유권이 이전된다. 이후부터 인도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유기동물로서는 생사의 갈림길에 놓이는 기간이다.
보호소 수가 턱없이 부족한 것도 유기동물 안락사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유기동물이 10만 마리가 넘지만 현재 전국의 유기동물 보호소는 282곳에 불과하다. 매일 구조돼 보호소에 들어가는 유기동물은 느는데 보호소 수용두수는 한계가 있다. 새로운 주인을 찾지 못한 유기동물은 안락사되거나 자연사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경기도 일선 유기동물 보호소 관계자는 "건강이 안 좋은 유기동물, 키우기 어려운 대형견, 길고양이 등은 입양되는 경우가 드물다"며 "특히 요즘 같은 여름휴가 기간엔 유기동물이 대량으로 발생해 기존에 수용된 유기동물을 안락사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채일택 동물자유연대 사회변화팀장은 "유기동물 수가 늘고 보호소는 한계가 있다보니 죽음을 맞는 유기동물 수가 줄지 않고 있다"며 "근본적인 해결책은 유기동물 자체를 줄이는 것인데 이를 위한 국가적 제도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라고 아쉬워했다.
iamky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