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립국, 이동거리·경호·언론 편의성 등 용이 '평가'
北 외무성 대표단, 지난달 사전점검차 싱가포르 방문
조진구 교수 "양쪽 모두 편하게 준비할 수 있는 장소"
[서울=뉴스핌] 이준혁 정치부장 = ‘아시아의 스위스’라 불리는 싱가포르가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 개최지로 최종 확정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트위터에 G7회의 직후인 내달 12일 싱가포르에서 북미정상회담을 열기로 했다고 직접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현지시간) 이후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일정과 장소를 확정했다. 곧 발표하겠다"고 무려 세차례나 사전 예고한 바 있다. 가장 최근엔 지난 8일(현지시간) 이란 핵협상 파기 선언을 하면서도 북미정상회담의 시간과 장소가 모두 결정됐다고 거듭 밝히면서 국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따라 장고 끝에 나온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카드를 놓고 해석이 분분하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정상회담 개최지로 ‘싱가포르’를 최종 낙점한 배경에 대해 살펴봤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⓵ 경호·거리 이점에 국제회의 경험 많아...“北 전용기 '참매1호' 중간급유 필요 없어”
미국 현지 언론은 이날 북미정상회담이 싱가포르에서 개최될 것이라는 뉴스를 일제히 헤드라인으로 뽑았다. 시기는 G7정상회의 직후인 6월 12일. 앞서 그동안 북미회담 장소로 판문점과 싱가포르, 몽골 울란바토르나 스위스 등이 거론돼왔다. 싱가포르가 최종 낙점된 것을 두고서는 많은 분석들이 나온다.
우선 싱가포르가 북한의 교역국 중 하나로 무역상사와 선박회사가 다수 진출한, 소위 '밀접한' 관계에 있는 국가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첫 손에 꼽힌다.
북한의 통치 자금을 담당하는 노동당 39호실도 한때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활동했다. 평양에서 6~7시간 거리로 김 위원장 전용기로 운항이 가능하다는 점도 적극 고려됐을 것이다.
예컨대 김 위원장의 전용기인 ‘참매 1호’가 중간 급유를 할 필요가 없다. 평양과 싱가포르 간 거리는 5000㎞ 정도인데, '참매 1호'의 최대 비행거리는 1만㎞다.
또 싱가포르는 아시아권에서 치안상태가 매우 좋은 편이다. 이로 인해 경호가 용이하다는 것도 이점으로 꼽힌다. 국제회의 경험도 많아 언론사들의 취재 편의성도 훌륭하다.
앞서 조선중앙TV는 지난 4월 1일 "최희철 동지를 단장으로 하는 외무성 대표단이 싱가포르를 방문하기 위해 3월 31일 비행기로 평양을 출발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 대표단이 회담 장소를 점검하기 위해 사전방문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왼쪽),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사진=로이터 뉴스핌] |
⓶ 판문점 개최시 문재인 대통령 부각되는 것에 부담..‘중국 배려설’도 거론
조진구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조교수는 "우리 입장에서 보면 싱가포르는 전혀 인연이 없다고 보지만 제3의 장소가 의미가 있을 수도 있다"며 "판문점에서 하면 공이 한국 쪽으로 너무 쏠리기 때문인데, 싱가포르는 북미 양쪽이 모두 마음 편하게 준비할 수 있는 장소"라고 말했다.
그동안 북미 양국은 회담 장소를 놓고 미국은 싱가포르를, 북한은 평양을 1순위로 꼽고 협상을 벌여온 것으로 알려져있다. 결과적으로 김 위원장이 지난 8~9일 방북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만난 뒤 장소 문제에서 미국 측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외교 소식통은 “북한 입장에선 안방에서 미국과 담판을 짓고 싶었겠지만, 미국으로선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북한으로 가는 것이 여러모로 부담스러웠을 것”이라며 “미국이 장소 문제에 있어 의지를 관철시킨 것 같다”고 전했다.
판문점에서 또 한번 정상회담이 열리면 흥행성이 떨어지고, 중재국인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더 부각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는 후문이다.
일각에선 한국 내에서 판문점에서의 종전선언 등이 거론되면서 너무 앞서나간데 대해 미국 행정부가 부담을 느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 대북 전문가는 “북미정상회담이 판문점에서 열리면 종전선언 논의가 남북미 간에 진행되지만, 싱가포르에서 열리면 남북미중으로 확대돼 중국의 ‘패싱’ 논란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북한에 억류됐다가 풀려난 미국인 3명과 트럼프 대통령,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 [사진=로이터 뉴스핌] |
⓷ 北 경제개발 ‘롤모델’, 싱가포르...‘독재국가+경제적 성공’ 감안한 듯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싱가포르는 북미 양국의 지도자에게 모두 중립적 지역(neutral turf)”이라며 “이미 싱가포르는 주목할만한 국제외교 행사를 진행한 사례가 많이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지난 2015년 11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馬英九) 대만 총통 간 사상 첫 정상회담이 싱가포르에서 열렸다. 또 2008년 북핵 6자회담 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와 감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이 만나 북한 핵시설 검증협약을 위한 협상을 벌인 곳도 싱가포르다.
싱가포르는 북한 입장에서 보면 여러모로 낯설지 않은 곳이다. 미국 대사관도 있지만 북한 대사관도 적지 않은 외교적 활동을 하고 있고, 북한 외교관이나 고위급 인사가 자주 들르는 곳으로 알려져있다. 그만큼 중립국 이미지가 강하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회원국들 모두 북한과 수교관계를 맺고 있지만,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은 친북한 성향으로 분류된다. 반면 필리핀은 친미성향 국가다. 이에 비해 싱가포르는 미국과 북한 모두에게 거부감이 적다.
한 대북 전문가는 "싱가포르는 북한의 경제개발 모델로 오랫동안 연구해온 국가"라며 "김정은 위원장이 북미수교 이후 정상국가 건설을 이루고자 하는 벤치마킹 1순위"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특히 싱가포르가 독재국가이면서도 경제적으로 성공했기 때문에, 체제안전을 보장받으면서 북한의 경제난을 해소하기 위한 좋은 본보기 국가인데, 북미간 이같은 상징성을 인정하는 묵시적 합의가 있지 않았겠느냐”고 관측했다.
jh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