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카 적발에도 피해자가 전근 가기도
방송제작현장 성폭력 실태조사 충격적
"방송제작 현장 종사 스태프 대변하는 노조 절실"
[서울=뉴스핌] 황선중 기자 =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의 불씨가 사회 각계각층으로 옮겨붙고 있다. 불씨는 법조계에서 시작해 연극계, 스포츠계를 거쳐 이제 방송계까지 이르렀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18일 '방송계갑질119'와 방송스태프노조 준비위원회가 '2018 방송제작현장 성폭력 실태조사'를 통해 공개한 방송계 성폭력 피해 고발 사례다.
#1 "회식 자리에서 술에 취한 50대 중후반 공중파 본사 제작 PD(남자)가 20대 후반의 서브 작가(여자)의 가슴을 모두가 보는 앞에서 움켜쥐었다. 서브 작가는 그날 이후 일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내려갔다. 아무 조치도 징계도 없었다. 그 자리에서 아무도 말린 사람이 없었다는 것이 충격이었다."
#2 "저는 관계를 거부했기에 많은 불이익을 당했습니다. '월 천만 원 작가 만들어주겠다', '드라마 작가로 데뷔시켜주겠다' 같은 유혹에 넘어가지 않은 제 행동에 후회는 없습니다. 물론 그런 제안 받았을 때 순간 갈등되기는 하더군요. 그런 말도 안 되는 유혹에 잠시라도 갈등할 수밖에 없는 저희들의 위치가 너무 슬프네요."
#3 "상사가 몰카를 찍었고, 그게 적발돼 대표에게 말했지만 가해자는 여전히 그 회사를 버젓이 다니고 있다. 오히려 애물단지라 여겼던 저를 다른 곳으로 보낸, 이 쓰레기 같은 바닥에서 여자로서 계속 있을 수 있을까 고민이다".
#4 "소위 진보적이라거나 의식 있다는 피디(PD)들도 성폭력 행위의 주체가 혹은 방관자가 되기 일쑤지요. 일터에서 버젓이 성폭력을 행사하는 사람들이 파업 현장에서 앞장서고 있는 모습을 보면 역겨울 정도입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두 단체는 지난 2월 14일부터 3월 2일까지 방송제작현장 근로자 223명을 상대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응답자 가운데 200명(89.7%)이 '성추행 및 성희롱 등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고 밝힌 것으로 집계됐다. 응답자 중 여성은 209명(93.7%), 남성은 14명(6.3%)이었다.
응답자의 구체적 업무 내용을 보면 ▲작가 178명(80.2%) ▲연출(PD, AD, FD, VJ 포함) 38명(17.1%) ▲후반작업(CG, 자막, 녹음, 음악) 4명(1.8%) ▲기자 1명(0.5%) ▲미술(소품,분장,세트,의상) 1명(0.4%) 등이었다.
피해자들은 대부분 피해를 당하고도 침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폭력에 대한 대처로 194명의 응답자 가운데 '참고 넘어간다'는 응답이 156명(80.4%)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 이유로 '고용형태 상 신분상의 열악한 위치 때문에'라고 답한 응답자가 156명 중 90명(57.7%)에 달했다. '문제제기를 해도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87명), '소문, 평판 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69명) 등도 있었다.
두 단체 관계자는 "방송제작현장은 취업시장이 한정되어 있고, 인적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폐쇄적인 업계"라며 "성폭력 피해 당사자가 업계를 떠나지 않고서는 피해를 고발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결방안으로 "방송제작 현장에 종사하는 스태프들은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노동조합을 만들어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18일 서울 광화문 민주노총 15층 교육원에서 방송계갑질119, 방송스태프노조 준비위원회가 '2018 방송제작현장 성폭력 실태조사'를 공개 및 설명 하고 있다. <사진=황선중 기자> |
sunj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