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오영상 전문기자] 일명 ‘춘투(春鬪)’로 불리는 일본의 봄철 노사 임금 교섭에서 기업 측이 실적 호조와 인력 부족을 배경으로 임금 인상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금속노조 관계자가 춘투 결과를 상황판에 작성하고 있다 <사진=NHK> |
15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2018년 노사 교섭에서 주요 기업의 약 70%가 기본급 인상(베이스 업)을 실시했으며, 그 중 74.2%의 기업은 작년에 비해 인상 폭을 확대했다.
닛산자동차의 경우 베이스 업에 해당하는 임금 개선분에 대해 노조 측이 요구한 3000엔 인상을 그대로 수용했다. 노사 교섭의 가이드 역할을 해왔던 도요타자동차는 노사 합의로 임금 개선분에 대해 구체적인 액수를 밝히지 않기로 했다.
또 월급 기준으로 3% 이상 임금을 올린 기업도 22.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임금 인상은 아베 신조(安倍晉三) 총리가 산업계에 직접 요구한 수치이다. 이로 인해 ‘관제 춘투’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신문은 “물론 3% 임금 인상에 미치지 못한 기업이 더 많지만, 기업들의 임금 인상 흐름은 확실히 전에 비해 강해졌다”고 평가했다. 일본의 대표적 재계 단체인 ‘게이단렌(経団連)’의 사카키바라 사다유키(榊原定征) 회장도 “높게 평가한다”고 말했다.
기업의 이익 중 근로자에게 돌아가는 몫을 나타내는 ‘노동분배율’에서 일본은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많이 뒤처져 있다. 세계적인 경쟁 격화와 인재 쟁탈전이 벌어지는 가운데 일본 기업들은 연공 서열 등의 얽매이지 않는 임금 결정 방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페이스북 등 세계적인 기업들과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IT 업계에서는 이미 이러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야후나 사이버에이전트(CyberAgent)는 우수한 능력을 가진 신입사원에게 파격적인 연봉을 제시하는 등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임금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일본 요코하마에 있는 닛산 본사<사진=뉴시스> |
[뉴스핌Newspim] 오영상 전문기자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