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미래 중국경제 승계자' 재벌 2세 푸얼다이 클럽 ‘릴레이차이나’

기사입력 : 2018년02월19일 07:54

최종수정 : 2018년02월20일 18:36

2030 '7공자 클럽' 공산당과 콘크리트 인맥 구축
SNS 활동에 잡지까지 발행하며 이너써클 구성

[편집자] 이 기사는 2월 17일 오전 11시13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백진규 기자] 중국 기업인들은 강남회 태산회 등 다양한 경제인 클럽에 몸담으며 꽌시(關系, 인맥)를 돈독히 하고 사업을 확장시키고 있다. 그렇다면 재벌 2세 푸얼다이(富二代)들의 사교클럽은 어떨까?  대표적인 재벌2세 청년 기업가 모임에는 릴레이차이나(接力中國, Relay China)가 있는데, 여기엔 모두 200여명의 차세대 CEO들이 참여해 연수 세미나 정보교류 등을 통해 파워를 키워나가고 있다. 미래 중국 경제 산업의 리더를 표방하고 나선 푸얼다이 클럽 릴레이차이나를 들여다본다.

◆ 엘리트 기업인 2세의 집합소, 릴레이차이나

중국 대표 중공업기업 싼이그룹(三一集團) 회장의 외아들 량짜이중(梁在中·84년생), 중의약기업 톈스리그룹(天士力集團)회장의 아들 옌카이징(閆凱鏡·79년생), 화타이자동차(華泰汽車) 회장의 아들 장훙량(張宏亮·84년생), 농축산기업 신시왕그룹(新希望集團) 회장의 장녀 류창(劉暢·80년생).

중국 대표 푸얼다이로 꼽히며 경영 일선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이들에겐 공통점이 하나 더 있다. 바로 ‘릴레이차이나 청년엘리트 협회(接力中國青年精英協會)’ 회원이란 점. 량짜이중과 옌카이징은 릴레이차이나의 상무이사, 장훙량은 감사, 류창은 이사를 맡고 있다. 이 외에도 유명 기업 회장의 자제들이 이사, 감사, 회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릴레이차이나 홈페이지 캡쳐

2008년 설립된 릴레이차이나의 회원은 200여명에 달한다. 푸얼다이가 대부분이지만 스타트업 대표 등 자수성가형 기업인도 포함돼 있다. 이들은 해외 연수와 교육을 통해 지식과 경험을 쌓으면서 비즈니스 정보를 공유하고 격월간지를 제작한다. 20~30대로 나이만 어릴 뿐 강남회(江南會) 태산회(泰山會) 등 중국 대표 CEO클럽들과 별반 다르지 않다.

릴레이차이나 홈페이지(http://www.relaychina.org/)에서 소개하는 클럽의 사명(使命)은 '비즈니스 엘리트들이 모여 중국경제를 이어받고 세계를 선도한다'이다. 홈페이지는 중국 각 지역은 물론 미국 영국 캐나다 등 해외 지역 회원들까지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 외국 석학 강연, 국내 기업 회장 초빙까지 만능

올해 초 릴레이차이나는 상하이의 칭푸청년연합회(青浦區青年聯合會)와 연합대회를 진행했다. 모두 60여명의 청년들이 모인 자리에는 상하이 시정부와 공상연합회 관계자들도 함께 참석했다.

팡젠썬(房劍森) 상하이시 통전부(統戰部) 부부장은 “이 자리에서 청년 엘리트 여러분들께 몇 가지 부탁을 하고 싶다”면서 회원간의 원만한 교류, 정치·사상의 발전, 자율·평등 이념의 발전을 주문했다.

연합대회는 시진핑 신시대(新時代)의 중국특색사회주의사상 발전을 언급하면서 청년들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했다. 행사 끝에 회원들은 “클럽의 모든 구성원들이 비즈니스 능력과 인문소양을 갖춰 미래의 사회 발전에 공헌하자”고 다짐했다.

중국 재계 선배들과의 교류도 클럽의 주요 행사다. 지난해 은퇴한 중국 부동산기업 완커(萬科)의 설립자 왕스(王石)는 올해 1월 ‘2017-2018년의 밤’ 행사에 지인 기업인들과 함께 릴레이차이나 회원들을 초청했다. 왕스는 강연에서 즉흥적으로 구두를 벗고 건강의 중요성을 언급한 뒤, 릴레이차이나 회원들과 함께 체조를 하기도 했다.

연초 초청행사에서 왕스 전 완커그룹 회장(왼쪽에서 여섯번째)과 릴레이차이나 회원들이 체조를 하고 있다 <사진=릴레이차이나>

해외 연수 수준도 상상을 초월한다. 연 초 릴레이차이나가 공개한 오는 4월 영국 옥스포드 대학 연수 스케쥴에 따르면, 영국 석학들은 ▲인공지능 ▲SNS와 빅데이터 ▲글로벌화의 산업정책 등을 주제로 회원들에게 특강을 펼칠 예정이다. 메인 강연은 영국 가족기업연구센터의 설립자인 존 터커(John Tucker) 교수가 맡았다. 8박 9일의 일정은 아침 6시부터 저녁 9시까지 특강, 교류활동, 현지답사, 저녁 만찬 등으로 빽빽하게 채워져 있다.

지난 2015년 릴레이차이나 회원들은 서울에서 열린 한-중 청년지도자포럼에 참석하기도 했다. 양국의 청년 대표단 200여명이 모인 자리에서 이들은 ‘창조경제와 한중 청년 협력’을 주제로 동부아 지역의 발전 등을 논의했다. 행사에는 리커창(李克強) 총리와 황교안 당시 국무총리가 함께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지난 2015년 릴레이차이나 회원들은 서울에서 열린 한-중 청년지도자포럼에 참석했다 <사진=릴레이차이나>

◆ SNS활동에 잡지까지 발행하며 세력 과시

릴레이차이나에서 발간하는 격월간지 '포천 제네레이션' 표지 <캡쳐=릴레이차이나>

이들이 제작하는 격월간지 ‘포천 제네레이션(Fortune Generation)’은 청년 기업인들의 활동 홍보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창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포천 제네레이션은 전체 100여 페이지에 50위안에 판매되고 있으며, 인터뷰 칼럼 경제계 이슈 등을 다루고 있다. 잡지 표지사진과 구성 등이 일반 월간지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SNS 웨이보(微博) 활동도 열심이다. 릴레이차이나 웨이보에는 최근 회원들의 근황, 행사 소개, 중국 정부당국의 주요 행사 소개 등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특히 공산당 행사와 19차 당대회 이념 등이 주로 올라와 있어, 공산당원이 대부분인 이들의 자부심을 엿볼 수 있다. 지난해 11월 28일자 웨이보에는 릴레이차이나 이사장인 옌카이징이 전국공상업연합회 집행위원으로 선출된 것을 축하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들을 비난하는 사람들도 눈에 띈다. 푸얼다이인 것을 무슨 특권처럼 여기며 자기들끼리 이너서클을 만들고 몰려다닌다는 것. 분명 릴레이차이나 회원들에게도 이런 목소리가 들렸겠지만, 이들은 아랑곳 하지 않고 홈페이지 웨이보 등을 통해 자신들을 세력을 과시하며 ‘미래 중국의 발전’을 외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백진규 기자 (bjgchin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돌연 취소된 '2+2 통상협상' 왜?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5일(현지 시각) 미국 현지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미 2+2 재무·통상 협의'가 돌연 취소된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 측이 한국 대표단에 '양해'의 뜻을 여러 차례 표명했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설명이지만, 외교상 결례에도 불구하고 협의를 미뤄야 했던 배경에는 한국 협상단을 길들이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오전 9시경 이메일로 미국 측으로부터 협의 취소를 통보 받았다. 이날 오전 구 부총리는 협의를 위해 미국으로 출발할 예정이었다. 당시 인천공항 대기실에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기재부는 이 같은 사실을 오전 9시 30분께 언론에 공개했고, 구 부총리는 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오전 9시 50분께 공항을 빠져나갔다. 이날 회의가 취소가 된 배경에 대해 기재부 측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긴급한 일정'에 대한 설명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측이 이메일을 통해 여러 차례에 걸쳐 사과 의사를 밝혔지만, 협상 관련 구체적 일정은 확정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의 미국과의 협상은 예정대로 진행된다. 김 장관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 등을, 여 본부장은 제이미스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각각 만난다. 하지만 양국 경제·통상 수장이 구체적 이유 없이 협의를 돌연 취소한 배경으로 한미간 협상이 난항을 겪은 것 아니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지난 20일 미국으로 출국한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오후 귀국할 예정이지만, 고위급 협상에 진전이 없었던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 정부는 1000억달러(약137조원) 규모의 미국 현지 투자 계획을 미국 정부에 제안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보다 먼저 관세협상을 타결한 일본 사례를 참고해 짠 전략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5500억달러(약 757조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약속하고 미국과의 상호관세 15%부과에 합의했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다만 한국 정부가 제시할 투자 규모에 미국 정부가 만족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댄 스커비노 백악관 부비서실장이 최근 소셜미디어(SNS) 엑스(옛 트위터)에 공개한 일본 대표단과의 협상 사진을 살펴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대미 투자액을 상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투자액이 나온다. 애초 일본이 제시한 투자액 4000억달러는 펜으로 그어져 있고, 그 위에 5000억달러라는 숫자가 써 있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일본의 대미국 투자액은 5500억달러라고 공개했다. 협상액보다 500억 달러가 높아진 셈이다. 촉박한 협상 일정을 무기 삼아 미국이 비관세 영역도 손보려는 의도가 아니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2025년 미국 무역대표부의 비관세 장벽 보고서(NTE)에서도 한국의 방산·통신·원전 분야를 지적했다. 박기훈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방산과 통신은 미국 기업의 진입 장벽이라는 측면에서 구조 개선에 대한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07-24 18:42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