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연극

속보

더보기

[인터뷰] '크리스토퍼 논란클럽' 임도완 연출 "초연보다 더 노는 것처럼…즐겨달라"

기사입력 : 2017년11월09일 17:24

최종수정 : 2017년11월09일 17:24

[뉴스핌=황수정 기자] "집에 돌아가다 어떤 생각이든 하게 된다면, 정말 좋을 것 같아요."

연극 '크리스토퍼 논란클럽'이 지난 8일 개막했다. '크리스토퍼 논란클럽'은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다크나이트' '인셉션'을 모티브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울림을 전한다. 특히 영화의 역동성을 신체의 언어로 재구성, 배우들의 움직임으로 경이로운 장면들을 재현해낸다.

연출을 맡은 임도완 연출가는 극단 사다리움직임연구소 소장이자 현재 서울예술대학 교수다. 지난 2014년 '크리스토퍼 논란클럽'을 만든 후, 3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올렸다. 당시 세월호 사건으로 인해 많은 것을 자제해야 했던 임도완 연출은 "이번에는 더 재밌게 했다"고 자신했다.

"영웅에 관한 이야기, 생각 자체를 변질 시키는 행동이나 언어들, 정치권의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은유를 통해 전하고 싶어서 '다크나이트' '인셉션'을 택했어요. 초연 연습 도중에 세월호 사건이 터져서 그때는 음악도 세게 못하겠더라고요. 이번에는 더 노는 것처럼, 더 재밌게 만들었어요."

공연의 가장 큰 특징은 오롯이 배우의 소리와 몸짓으로 영화의 명장면을 재구성 해낸다는 것. 의자 6개, 마이크 4개 외에 아무것도 없는 텅빈 무대지만, 배우들의 움직임만으로 꽉차게 만든다. 특히 CG같은 장면을 어떻게 연출할까 싶은데, 상상력을 뛰어넘어 그저 감탄만 자아내게 한다.

"프랑스에서 유학할 때 2학년 수업 중 하나가 밴드마임이었어요. 영화 한 편을 18분으로 줄여서 하는 수업이 있었는데 굉장히 재밌었어요. 정말 기발한 아이디어가 많이 나오죠. 영화마다 같을 순 없으니까, 그 영화의 이미지를 신체언어로 어떻게 표현해야 할 지 고민이 많았죠. 특히 구성이 제일 어려웠어요. 어떤 신을 뽑아내야 할 지, 그런 것들요."

이번 재연에서는 '인셉션'의 주인공 코브(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를 괴롭히는 무의식 속 아내 맬(마리옹 꼬띠아르)에 대한 장면, 코브의 무의식 장소 바닷가 등이 새롭게 추가됐다. 뿐만 아니라 영화 속 명장면 도시 폭파나 트레일러 전복, 무중력 등을 인상적으로 표현해낸다. 그것도 별다른 장치 없이.

"요즘에는 미디어가 너무 넘쳐나요. 매일 스마트폰에 빠져있죠. 그동안 우리가 늘 가지고 있었던 신체 언어의 유희를 환기시키고 싶었어요. 어렸을 땐 공놀이도 하고 칼싸움도 하고, 신체 유희를 굉장히 즐겁게 생각했는데 지금은 그런 게 없어지고 사이버 공간 안에만 빠져있잖아요. 그걸 거꾸로 아날로그로 보여주고 싶었어요."

무대에서 또다른 재미는 '랩'이다. 배우들이 무대 모서리에 설치된 스탠딩 마이크를 통해 직접 랩과 노래를 선사,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좀더 분명하게 전달한다. 때문에 다소 무거운 주제라도 흥겹게 즐길 수 있다.

"랩은 시대 브랜드잖아요.(웃음) 옛날에 음유시인이 노래를 했다고 하면, 지금은 래퍼들이 하고 있으니까요. 다만 발음을 명확하게 하더라도 음색에 따라서 마이크가 잘 받는 사람이 있고, 아니라서 전달력이 떨어질 수도 있어서 걱정돼요. 그게 제일 어려운 부분이죠."

임 연출이 '다크나이트' '인셉션'의 영화를 통해, '크리스토퍼 논란클럽'을 통해 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이 시대의 영웅은 무엇인지, 우리는 타인의 생각이 아닌 본인만의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그는 "그냥 즐겨줬으면 좋겠다"면서도 "집에 돌아가다 어떤 생각이 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우리가 기다리는 영웅, 영웅이란 무엇이고 존재하는지, 그런 허상에 대해 생각해보길 바랐어요. 또 중고등학교 주입식 교육을 받고 자라면서 사람들이 자기 생각을 말하지 못하고 있어요. 옛날에는 소위 말하는 '개똥철학'이라도 있었지만 지금은 없어요. 정치, 사회, 교육이 사람들의 생각을 주무르고 조종하고, 획일화되고 있다는 것, 그걸 상기시키고 싶었어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작품을 새롭게 느껴볼 수 있는 연극 '크리스토퍼 논란클럽'은 오는 19일까지 CKL스테이지에서 공연된다.

 

[뉴스핌 Newspim] 황수정 기자(hsj1211@newspim.com)·사진 사다리움직임연구소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지각대장' 푸틴, 새벽에 평양 지각 도착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19일 새벽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났다고 크렘린궁과 러시아 매체 등 외신이 전했다. 크렘린궁 측이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푸틴은 예정보다 늦은 이날 새벽 2시45분께 전용기인 일류신(IL)-96 항공기로 도착했으며, 공항 활주로에서 영접 나온 김정은과 환영 의식을 가졌다. [서울=뉴스핌] 19일 새벽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영접 나온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포옹하고 있다. 두 사람은 이날 정상회담을 갖는다. [사진=크렘린궁] 2024.06.19 김정은과 푸틴은 환영 행사를 위해 의장대가 도열한 레드카펫을 걸어가면서도 이야기를 나누었으며, 푸틴의 이야기를 통역을 통해 들은 김정은이 고개를 끄덕이는 장면도 드러났다. 두 정상은 푸틴의 전용차량인 러시아산 '아우루스' 차량에 서로 먼저 탈 것을 청하며 한동안 옥신각신 했고 결국 푸틴이 먼저 탑승해 뒷좌석 오른쪽에 앉았다고 현지에서 취재한 매체들은 전했다.  푸틴은 김정은의 안내로 숙소인 금수산영빈관에 묵었다. 지난해 9월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센터에서 만난 이후 9개월 만에 재회한 김정은과 푸틴은 19일 정상회담을 하고 북러 간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에 서명하는 등의 결과를 공동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푸틴의 방북은 지난 2000년 7월 첫 평양 방문에 이어 두 번째로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북한의 대러 무기 제공 등으로 밀착관계를 보여온 북러 정상 간의 논의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yjlee@newspim.com 2024-06-19 06:03
사진
尹 지지율 35.2% 제자리걸음…'동해 석유' 발표 별무신통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소폭 상승해 30%대 중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3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0~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5.2%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62.2%로 나타났다. '잘 모름'에 답한 비율은 2.6%다. 지난 조사 대비 긍정평가는 0.1%포인트(p) 상승했고 부정평가는 0.6%p 하락했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는 27.0%p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긍·부정 평가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만 18세~29세에서 '잘함'은 26.5% '잘 못함' 72.1%였고, 30대에서는 '잘함' 32.3% '잘 못함' 64.4%였다. 40대는 '잘함' 22.5% '잘 못함' 75.3%, 50대는 '잘함' 32.3% '잘 못함' 66.5%로 집계됐다. 60대는 '잘함' 45.5% '잘 못함' 51.4%였고, 70대 이상에서는 '잘함'이 55.0%로 '잘 못함'(40.1%)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잘함' 37.0%, '잘 못함'은 60.1%로 집계됐다. 경기·인천 '잘함' 32.6% '잘 못함' 66.2%, 대전·충청·세종 '잘함' 34.8% '잘 못함' 63.6%, 부산·울산·경남 '잘함' 35.7% '잘 못함' 59.9%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잘함' 51.9% '잘 못함' 45.6%, 전남·광주·전북 '잘함' 21.9% '잘 못함' 75.1%로 나타났다. 강원·제주는 '잘함' 38.0% '잘 못함' 54.6%로 집계됐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남성은 '잘함' 32.4% '잘 못함' 65.7%, 여성은 '잘함' 38.0% '잘 못함' 58.8%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 지지율 결과에 대해 "포항 영일만 앞바다의 석유,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 국정브리핑과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로 인한 9·19 군사합의 파기 등의 이슈를 거치면서 지지율 반등을 노릴 수 있었다"며 "그러나 액트지오사에 탐사 분석을 맡긴 배경에 대한 의혹이 증폭되고 있고, 육군 훈련병 영결식에 참석하는 대신 여당 워크숍에 가는 모습 등 때문에 민심이 움직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차재권 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앞으로 큰 이슈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지지율은 떨어지지도, 올라가지도 않을 것 같다"며 "많은 국민이 기대도 하지 않고 그렇다고 아예 버리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지지율이 올라가려면 획기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3.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arksj@newspim.com 2024-06-13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