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이 기사는 7월 7일 오전 07시55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조한송 기자] 소득 주도 성장을 골자로 한 문재인 정부 하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계를 보좌할 학계 브레인들은 누굴까.
국내 대표적인 진보 경제학자인 장하성 ·김상조 교수의 투톱 체제 속에서 최종구 신임 금융위원장 후보가 낙점, 여타 금융 기관장 인사도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이에 새로운 경제수장들을 도와 시장을 이끌 자본시장 교수급 브레인들에 대해서도 업계 관심이 모아진다.
◆ 기업지배구조 개선 '톱픽'…고대라인 주축
우선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라인으로는 고려대 박경서 교수, 조명현 현 한국기업지배구조원장 등이 꼽힌다. 고려대 김우찬 교수도 자주 거론되는 인사다. 모두 고려대 교수 출신이다.
또 금융투자업 전반으로는 현재 금융발전심의위원회(이하 금발심) 위원장을 맡고 있는 장범식 교수가 당분간 현 체재를 유지하며 역할을 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금발심은 기획재정부(옛 재정경제부)의 금융정책 자문기관으로 출발해 금융시장 동향, 금융정책방향, 금융관련 법령 및 제도개선 등의 대한 자문역할을 해왔다.
자본시장법과 관련해선 정순섭 금융위원회 비상임위원과 심인숙 한국증권법학회 부회장, 안수현 한국금융소비자학회 부회장이 증권법 관련 대표 교수로 꼽히는 만큼 중추 역할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다.
이 밖에도 자본시장관련해선 안동현 자본시장연구원장, 박영석 한국금융학회장, 연강흠 한국재무학회장, 신성환 한국금융연구원장, 고봉찬 증권학회장 등이 금융위원회 관련 위원으로도 활동중이다. 윤창현 전 한국금융연구원장도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장 자리에 있으며 오랜기간 금융정책에 상당한 영향력 미치고 있다.
◆ 5명에서 1400명까지…30년 성장스토리
지금이야 셀수 없을 정도로 많지만 1980년대 초반만 해도 증권관련 분야를 제대로 전공한 박사급 교수는 손에 꼽을 정도였다. 증권강의가 본격 개설되고 발달하기 시작한 시점은 1980년대 중반. 당시 미국에서 학위를 마친 교수들이 귀국하면서부터다.
당시 정부에서 경영학 관련 교수를 양성하기 위해 유학자금을 지원한 것이 자본시장 발전의 단초가 됐다. 장하성 정책실장 역시 이 시기에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유학을 다녀온 최운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980년대 초반 대학 정원이 배로 늘면서 교수들이 필요했다"며 "당시 유학을 갔던 사람들이 돌아온 1985년경부터 증권학 관련 연구가 활성화됐다"고 기억했다.
1976년 설립된 증권학회 역시 이들의 등장으로 활동이 많아졌다. 학계 1세대로는 어윤대 전 KB금융 회장, 서울대 윤계섭, 최운열 당시 서강대 교수 등이 꼽힌다. 당시 관련 분야를 전공한 사람이 적다보니 교수들이 정부의 정책 결정에 참여할 기회가 많았다. 이들을 주축으로 국내 자본시장 정책의 틀이 갖춰졌다.
이후 서울대 최도성·최혁, 숭실대 장범식·조성빈, 고려대 김동철·조명현, 성균관대 최종범, 서강대 박영석 교수 등이 학계와 자본시장 안팎에서 활발한 활약을 펼쳤다. 한양대 김대식, 고려대 장하성, 연세대 김인준, 숭실대 윤석헌 교수도 한국재무학회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1세대로 꼽히는 윤계섭 서울대 교수는 "서울대서 증권강의를 열려고 하니 학생들에게 투기를 가르치려 하느냐며 경제학과 교수들로부터 많은 비난을 받기도 했다"며 "이후 현대투자이론이 노벨경제학상을 받고 나서야 이런 분위기가 다소 가라앉았다"고 회상했다. 윤 교수는 이어 "초기 전임교수로 증권 강의를 한 교수가 한 다섯명 정도였는데 지금 증권학회 회원 수가 1400여명이 넘은 걸 보면 비약적인 발전을 한 셈"이라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조한송 기자 (1flower@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