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장주연 기자] “나는 개새끼로소이다. 하늘을 보고 짖는 달을 보고 짖는 보잘것없는 나는 개새끼로소이다. 높은 양반의 가랑이에서 뜨거운 것이 쏟아져 내가 목욕을 할 때 나도 그의 다리에 뜨거운 줄기를 뿜어대는 나는 개새끼로소이다.”
영화 ‘박열’은 알려졌다시피 역사 속 인물 박열과 그의 동지이자 연인 가네코 후미코의 삶을 재조명한 작품이다. 야마다 쇼지가 쓴 카네코 후미코의 평전과 일본 아사히신문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중심으로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조선인 아나키스트 박열과 식민지 조선을 사랑한 일본 제국의 아나키스트 가네코 후미코의 정신을 그렸다.
메가폰을 잡은 이준익 감독은 전작 ‘동주’(2016)에서 그랬듯 화려한 요소를 최대한 배제했다. 진심을 전달하는데 오히려 방해된다는 이유에서다. 당연히 그간의 항일 영화처럼 화려한 볼거리, 스펙터클한 액션이나 총격전은 볼 수 없다.
신선한 지점은 감정에 호소하지도 않는다는 것. ‘박열’은 어떤 순간에도 애국심을 강요하거나 시대의 슬픔에 같이 울어달라고 요구하지 않는다. 되레 이성적인 태도로 일본 제국주의의 모순을 지적하고 부당한 권력에 대항한다. 실제 그때의 박열이 그랬고, 그런 박열을 통해 “이제 감정적 대응에서 벗어나 역사를 보는 성숙한 관점을 가졌으면 좋겠다”는 이준익 감독이 바람이 그러하다.
영화 전편을 비극이 아닌 희극으로 푼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박열’은 암울했던 시절과 사건을 유쾌하게 그렸다. 곳곳이 해학과 익살로 가득하다. 다만 이를 ‘가벼운 영화’라고 곡해하면 곤란하다. 이준익 감독은 노련하게 그 균형을 조율하며 전개했다.
배우들의 호연도 인상적이다. 박열로 극을 이끄는 이제훈은 데뷔 이래 가장 파격적인 연기를 보여줬다. 그의 세심한 연기는 관객이 몰랐던 박열의 지난 세월을 짐작하게 한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박열’의 일등공신은 가네코 후미코를 열연한 최희서다. 그의 눈물 섞인 웃음, 웃음 섞인 눈물에서 관객은 수많은 메시지를 읽을 거라 확신한다. 이준익 감독이 발굴한 보석, 다테마스 역의 김준한 역시 ‘박열’에서 놓쳐서는 안되는 배우다.
혹여 역사, 또는 특정 사상 자체에 거부감을 느끼는 관객이 있다면, 이준익 감독의 이 말을 전한다. “‘박열’을 통해 시대 막론 젊은이가 가진 순수한 신념에 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 과연 현재에 살고 있는 우리가 일제강점기의 박열만큼 세상을 정면으로 보고 살아가는지 되묻고 싶다”는.
전적으로 동의한다. 부당한 권력에 맞서는 청춘의 용기와 에너지는 지금을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다양한 생각 거리를 던진다. 역사적 의미를 떼놓고 봐도 ‘박열’의 의미와 가치가 충분한 이유다. 세상과 정면으로 부딪치고 부스러지는 청춘의 모습은 더없이 찬란하다. 오는 28일 개봉. 12세 이상 관람가.
[뉴스핌 Newspim] 장주연 기자 (jjy333jjy@newspim.com) <사진=메가박스㈜플러스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