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공급 부족으로 미 국채 거품, 위험투자"
[뉴스핌=이영기 기자] 세계 경제가 부활하고 있지만 이에 상응한 수준으로 안전자산은 증가하지 않고 있어 문제가 생긴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된다.
최근 10년간 커진 신흥국의 경제력에 비해 글로벌 금융시장에 공급되는 안전자산은 선진국 중앙은행의 자산매입 등으로 턱없이 부족해 졌다는 것이다. 중국의 부채가 이 자리를 메꿀 가능성이 관심의 초점이다.
13일(현지시각) 자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선진국과 신흥 경제국들이 공히 최고의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어두운 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문제는 세계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안전 자산의 부족이 심화되는 불균형이다. 즉 중국을 중심으로 한 신흥국들이 세계 성장을 주도했지만 자신들의 시장에서 자신들의 안전자산을 창출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SLJ캐피탈의 스티븐 젠은 "중국 등 신흥국이 부를 축적했지만, 개별 자본시장은 그에 상응하는 만큼 발전하고 정교해지지 않았다"며 "그 결과 투자자들은 미국 국채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채권시장의 거품을 상시화하고 더 위험한 자산으로 몰리게 했다"고 분석했다.
중국이 이 같은 안전 자산을 공급하기에 최적이지만 여전히 중국은 국채 대신에 공기업 회사채에 주력하고 있어 아쉽다는 것이 그의 견해다. 따라서 중국 자본시장에서 투자 행태는 이미 과도하게 값이 오른 선진국 국채를 매입하거나 아니면 더 위험한 자산을 선택하는 쪽으로 기울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경우 만일 문제가 생기면 투자자금이 안전자산으로 쏠려가고, 중앙은행들은 또 위기 관리를 위해 자산매입을 하는 등 자기실현적인 리스크를 노정하게 된다.
이는 벤 버냉키 전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2005년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서도 미국의 차입금리를 낮은 수준에 머물게 했던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과잉저축' 논쟁과 비슷하다.
요즘에는 미국, 중국, 일본의 경상수지 불균형이 해소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고, 아시아 경제대국들은 부채 부담이 높아지고 있어 저축이 너무 많다는 생각은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신흥국은 여전히 가치저장과 담보물로 보유할 수 있는 자신들의 안전자산을 개발하지 못했다. 법치주의에 대한 강한 확신과 차별없는 규제, 유동성에 대한 믿음이 필요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출처: 블룸버그통신> |
젠과 그의 동료 니콜로 반데라는 "신흥국은 여전히 금융 시스템이 뒤쳐져 있는 반면 미국 국채, 독일 은행채, 영국 국채와 같은 진정한 안전자산은 점점 희귀 해지고 공급이 부족한 상황을 낳았다"고 설명했다. 신흥국의 부가 증가해 수요가 늘어나는데도 선진국의 중앙은행은 자국 국채를 지속 사들이는 상황인 것이다.
미 연준(Fed)은 이번주에 2017년에 두 번째로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고, 4.5조달러의 대차대조표를 축소 계획도 주목된다.
세계 2위 경제대국인 중국이 미국 국채시장에 대한 대안을 개발할 수 있는 최상의 기회가 온 셈이다.
홍콩의 Natixis 아태지역담당 수석연구원 알리시아 헤레로는 "중국은 더 유동적이고 개방적인 국채시장을 만들어야 한다"며 "이는 미 국채에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고 또 위안화 국제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전자산의 부족 영향을 받고 있는 글로벌 자본시장의 행태에 대해 젠과 반데라는 우려하고 있다.
최근 자산가격이 비정상적으로 형성되고 있고 또 자산가격이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비정상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공격적인 통화정책 덕분에 글로벌 시장은 막다른 골목으로 몰렸고, 그 출구는 질서 정연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영기 기자 (0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