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 손석희가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해 언급했다. <사진=JTBC '뉴스룸' 캡처> |
[뉴스핌=이지은 기자] JTBC ‘뉴스룸’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 언급하며, 그 당시 전남대병원에서 광주 시민을 치료했던 의사 김영진 교수와 인터뷰를 가졌다.
18일 방송된 JTBC ‘뉴스룸’에서는 손석희가 앵커브리핑에서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 언급했다. 이어 5.18 운동 당시 첫 총상 환자를 치료했던 김영진 교수가 출연했다.
이날 ‘뉴스룸’에서 손석희는 영화 ‘나는 부정한다’에 대해 설명하며 “‘민간은 학살은 없었다’ ‘ 발포 명령자도 없었다’ 이것은 오늘 제가 말씀드리는 영화의 대사가 아니다”라고 운을 뗐다.
이어 “‘나는 광주사태 씻김굿의 제물’ 그렇습니다. 전두환 씨 회고록에 나오는 말이다. 1980년 5월을 묻어두고 싶었던 사람들 역시, 끊임없이 집요하게 그 날을 왜곡하고 폄훼하려 애써왔다”고 말했다.
손석희는 “그들은 아예 거짓증거를 퍼뜨리는 것도 주저하지 않았다. 그 반복되는 폄훼와 왜곡으로 시민들은 노래조차 부르지 못했다”라며 당시를 회상했다. 이어 “그러나 거짓이 참을 이길 수는 없다고. 선한 사람들이 수없이 되뇌어 왔고, 끝내는 이 빛나는 계절에 세상을 바꿔놓았다”고 덧붙였다.
특히 손석희는 5.18 민주화운동 추모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말을 언급했다.
그는 “새 정부는 마침내 오늘 발포명령자의 책임을 묻겠다고 선언하고 있다. 역사 속에 분명 존재해서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증거가 없어서 왜곡됐던 그 증거는 차갑게 드러날 것인가. 영화 ‘나는 부정한다’가 우리를 위해서 남겨준 듯 느껴지는 두 가지 대사를 소개해 드리겠다”고 말했다.
손석희는 “‘홀로 코스트는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잊혀져선 안 되는 슬픔 이상의 것이다’ ‘모든 주장이 동등하게 대우받아선 안 된다. 부정할 수 없는 진실은 존재한다’ 오늘의 앵커브리핑이었다”며 끝을 냈다.
이후 5.18 당시 전남대병원에서 광주 시민들을 치료했던 김영진 교수와 인터뷰룰 가졌다. 김영진 교수는 “5월 18일에는 곤봉에 맞은 환자, 19일에는 첫 총상 환자가 왔다. 21일에는 집단 발포로 총상 환자가 밀려 들어오면서 병원이 아수라장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첫 총상 환자를 직접 받았다.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었다. 본인 말로는 장갑차에서 총을 쐈다고 했었다. 아직도 이름을 기억하고 있다. 그 당시 병원에는 10대 미만의 어린아이들도 있었고, 20대가 절반에 육박했다”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이지은 기자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