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몸집 줄여 상선·특수선 중심 거듭나야
해양플랜트 "기술 유지" vs "빅2·관련업계가 흡수"
[뉴스핌=조인영 기자] 정부가 대우조선을 상선·방산 중심으로 살리되 해양플랜트는 사실상 정리하기로 했다. 경쟁력 높은 고부가가치산업은 육성하지만 수조원대 부실 원인이었던 해양플랜트는 접기로 한 것이다.
이에 대해 조선전문가들은 대우조선의 전체적인 몸집 줄이기는 불가피하나 해양플랜트 정리방안에 대해 입장차이를 보였다.
<사진=뉴스핌> |
23일 금융위원회는 '대우조선 구조조정 추진방안'에서 경쟁력있는 상선·특수선 중심으로 효율화하고, 해양플랜트는 기존 수주잔량 인도에 집중해 사실상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대형 LNG선,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 차세대 신선박사업과 첨단기술을 활용한 수출방산 사업 등에 역량을 집중하고, 부실원인인 해양플랜트는 사업성 평가를 대폭 강화해 수익성이 객관적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수주를 허용, 저가수주를 원천 차단하기로 했다. 결국 부가가치선종에 특화된 대우조선으로 사업 규모가 축소되는 셈이다.
이에 대해 유관홍 현대중공업 전 사장은 해양플랜트를 제외하고 상선만 육성하도록 하는 것은 대우조선 문을 닫게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반대했다. 그러면서 조만간 유가가 오르면 해양플랜트 수요는 반드시 살아난다고 언급했다.
유 전 사장은 "조선사들이 해양플랜트에서 대거 적자를 본 이유는 물량산출을 제대로 못했고, 발주사가 지정한 부품을 구매하면서 자재절감에 실패했기 때문"이라며 "자재를 여러 곳에서 쉽게 구할 수 있도록 부품처를 다각화하고, 기술개발을 지속해 원가절감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해양플랜트 기술력을 세계 탑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선 3사가 플랜트 기술울 공유해 기술 진보를 이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노력없이 시황부진을 이유로 해양플랜트를 접는 것은 제대로 된 구조조정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다른 전문가들은 해양플랜트 설계능력에 한계가 있는 만큼, 상선과 특수선에 집중해 대우조선을 살리는 것이 맞다고 판단했다.
익명을 요구한 조선연구단체 관계자는 "해양플랜트는 대우조선 실적 악화의 '원죄'와도 같다. 조선부문에 특화된 강한 기업을 지향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다만 고급 해양플랜트 인력과 기술유출은 정부 주도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작년부터 중국이 글로벌 엔지니어링사와 접촉하며 해양플랜트 사업을 하고 있다. 국내 인력 유출이 우려되는데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에서 설계 인력을 흡수하는 등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료=뉴스핌> |
홍성인 산업연구원 팀장도 정부 방침에 상당부분 동의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출혈경쟁을 줄이기 위해선 각 사별로 핵심제품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홍 연구원은 "시황이 느리지만 개선되고 있으며 대우조선은 LNG연료 추진장치(ME-GI엔진 등)등 조선분야 질적변화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며 "해양플랜트는 보완적 영역으로 가져가는 것이 좋지만 고급 해양플랜트 인력은 그 부분으로 집중화하는 업체수요가 있고 연구기관, 대학 등에서도 수요가 있다"며 큰 문제가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어 "2020년 이후 시황이 과거 평균 규모로 회복되면 대부분의 문제가 해소될 것"이라며 "자구계획 이행률이 올라가고 드릴십 용선처가 확정되면서 대우조선의 부담도 가벼워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영훈 경남대 조선해양IT학과 교수도 "빅3 주력분야의 차별화가 결국 공생하는 길"이라며 "자금지원도 기업운영의 유동성과 안정적 작업이 가능한 분야로 집중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대우조선은 지난해 매출 기준 50%를 넘어섰던 해양플랜트 비중을 30%로 대폭 축소할 계획이다. 상대적으로 낮았던 상선 부문은 고부가가치선박 수주로 60%대로 확대한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노사가 합심해 자구안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조인영 기자 (ciy8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