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핵심국 프랑스, 정치 위험으로 우려 대상
아일랜드와 스페인 부상, 준 핵심국 대우받아
[뉴스핌= 이홍규 기자] 유로존 재정위기 이후 유로존 내 국가들을 경제 규모와 재정 건전성 기준으로 구분짓던 '핵심국'과 '주변국'의 구별이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재정위기 주범이자 주변국이었던 스페인과 아일랜드가 강력한 경제 회복세를 보이면서 핵심국에 걸맞는 경제 건전성을 보이고 있는 반면 기존 핵심국인 프랑스는 정치 위험을 겪으면서 점차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모습이다.
7일 자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2012년 유로존 부채위기의 상징이었던 스페인 대형은행 방키아는 지난주 5억달러의 후순위채 발행에서 흥행을 거뒀다. 액면 금리가 3.4%에 불과했지만 50억달러 수요가 몰렸다. 2012년 당시 스페인 10년물 국채 금리가 7%를 웃돌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ECM애셋매니지먼트의 크리스 텔페르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방키아는 은행위기의 상징이었다"면서 그러나 "지금은 방키아의 후순위채에 대한 수요가 많다. 모두가 사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 |
<사진=블룸버그통신> |
◆ 아일랜드, 이제 준핵심국… 스페인 은행, 체계적 위험 없다
물론 채권 발행에서 방키아만 흥행을 거둔 건 아니다. 은행 업종에 대한 투자 심리는 글로벌 전반에 걸쳐 회복됐다. 그러나 방키아의 성공은 유로존을 핵심국과 주변국으로 구분하던 투자자들의 기존 인식을 긴급히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신호라고 신문은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스페인과 아일랜드처럼 위기 때 타격을 입은 국가들이 강력한 경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데 반해 프랑스 등 핵심국들은 급진적인 정치 변화 위험을 겪으면서 기존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ABN암로의 닉 코우니스 매크로 및 금융시장 리서치 책임자는 "아일랜드는 이제 명확한 준(Semi)핵심국"이라면서 "이제는 핵심국과 주변국 구분선이 매우 유동적이다. 어느 국가도 항상 특정 범주에 포함돼 있을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아일랜드만 아니라 스페인도 준 핵심국 지위를 얻어가고 있다. 지난 2014년 이후 스페인의 국내총생산(GDP)은 평균 2.6% 성장해 아일랜드를 제외하고 다른 유로존 주요국 성장률을 앞질렀다. 코우니스 책임자는 대규모 예산 적자 때문에 아직 스페인을 준 핵심국으로 볼 수는 없지만 스페인 은행 업종에 '체계적 위험'은 없다고 분석했다. 그는 아일랜드를 비롯해 오스트리아, 벨기에를 준 핵심국로 봤다.
![]() |
(주황색) 프랑스 국채 10년물 금리, 스페인 10년물 금리 추이 <자료=블룸버그통신> |
◆ 위험 산재한 프랑스, 이탈리아와 동일 취급
반면 유로존에서 독일과 양대 축을 이루고 있는 프랑스는 다른 주변국과 동조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최근 프랑스 국채 시장에서 잘 나타난다.
지난달 프랑스 국채 10년물 금리는 극우전선(FN) 대표 마린 르펜의 대통령 당선 가능성을 반영하며 1년여 만에 최고치로 솟아 오르는 등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현재는 에마뉘엘 마크롱 전 경제장관의 당선 가능성이 우세한 상황이지만, 마크롱이 되더라도 지지 기반이 취약해 차기 정권은 한동안 국정 혼란에 시달릴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같은 최근 프랑스 국채 시장의 움직임은 주변국인 이탈리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인데 지난 2월 10년만기 이탈리아 국채 금리는 2.4%까지 뛰어올라 재작년 여름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텔페르 매니저는 "스페인은 주변국으로 보기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며 "프랑스 국채와 이탈리아 국채 가격은 약세를 나타냈지만, 스페인은 그 정도로 떨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유로존 재정위기 이후 유럽중앙은행(ECB)의 양적완화(QE) 실시가 유로존 국채 금리를 떨어뜨리며 핵심국과 주변국 구별을 더욱 모호하게 만들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유로존의 물가 상승과 경제 성장이 더 가속화 되면 ECB의 국채 매입 규모가 서서히 줄면서 재정위기 당시 뚜렷하게 나타났던 주변국과 핵심국의 구별이 다시 되돌려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미 ECB는 800억유로였던 월간 채권매입 규모를 4월부터 600억유로로 줄이기로 한 상황이다.
[뉴스핌 Newspim] 이홍규 기자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