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BOK 이슈노트' 발표
[뉴스핌=김은빈 기자] 한국은행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금보다 높아질 거라고 예상했다.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확대됐던 상품 물가와 서비스 물가의 격차가 유가 상승과 함께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30일 ‘BOK 이슈노트(서비스 상품 물가: 최근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앞으로 상품 물가 오름세가 확대되면서 서비스와 상품 물가 간의 괴리가 줄어들 것이라 본다”며 “소비자 물가의 오름세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2013년 이후 서비스 물가와 상품물가 간의 격차는 확대되고 있다. 2000~2012년의 상품물가 상승률(3.5%)과 서비스물가 상승률(2.8%)의 격차는 0.7%p였다. 하지만 2013년을 기점으로 상품물가 상승률이 급감하기 시작하면서 상품물가 상승률과 서비스 물가 상승률의 차이는 벌어졌다. 올해 1~10월의 2.7%p로 확대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전기영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과장은 “서비스・상품 물가 간의 괴리 확대는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상품물가 약세에 주로 기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석유와 도시가스의 물가 상승률은 2013년 -0.8%를 기록한 이후로 꾸준히 하락했다. 올해 1~10월의 석유, 도시가스의 물가 상승률은 -12.1%였다.
<자료=한국은행> |
이는 두 물가를 결정하는 요인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상품 물가는 국제유가, 달러/원 환율 등 글로벌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왔다. 반면, 서비스 물가는 인플레이션 기대나 GDP갭률 등 국내경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 걸로 나왔다.
전 과장은 “분석 결과를 보면 서비스・상품 물가 상승률 사이에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최근에 확대된 두 물가 간의 괴리가 점차 축소될 것이라는 걸 시사한다”고 말했다.
<자료=한국은행> |
한편, 앞으로의 물가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예측력 측면에선 서비스물가가 더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과장은 “소비자물가 예측모형에 서비스물가를 추가할 경우, 18개월 내외의 시계에서 소비자물가에 대한 예측력이 뚜렷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물가지표 추가시 예측력을 비교한 표 결과를 보면 개인서비스 물가의 경우 18개월 후 소비자물가 예측력이 0.89로 나타났다. 예측력이 0.89라는 뜻은 해당 지수를 투입했을 경우 예측력이 11%정도 개선된다는 뜻이다. 1.0은 예측력이 없다는 것을, 1보다 큰 경우는 투입 시 오히려 오류가 발생한다는 의미다.
전 과장은 “서비스 물가가 소비자물가 전망시 예측력 개선효과도 뛰어나고, 기조적 물가흐름이나 국내경기와 연계성도 높다”며 “통화정책 수행시 유용한 참고지표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고 덧붙였다.
[뉴스핌Newspim] 김은빈 기자 (keb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