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12사태를 묘사한 MBC 드라마 '제5공화국'의 한 장면. 정승화 총장이 연행된 뒤 이에 반발한 장태완 사령관을 연기한 배우 김기현 <사진=MBC '제5공화국' 캡처> |
[뉴스핌=정상호 기자] 12월12일을 맞아 1212사태에 관심이 집중됐다.
매년 이맘때면 주목 받는 1212사태는 1979년 10월26일 대통령이던 박정희가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총에 쓰러진 뒤 벌어진 군부쿠데타이다.
당시 합동수사본부장을 맡은 보안사령관 전두환은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정승화와 갈등이 심했다. 정승화를 끌어내릴 목적으로 전두환 등 신군부세력은 그가 군부 내 주도권을 쥐기 위해 김재규로부터 돈을 받았다고 입을 맞췄다. 더욱이 신군부는 정승화에 10·26사건 수사에 비협조적이라는 죄명도 만들어냈다.
신군부는 11월 중순 국방부 군수차관보 유학성, 1군단장 황영시, 수도군단장 차규헌, 9사단장 노태우 등과 모의한 끝에 12월12일을 거사 날짜로 정했다. 군사반란 세력에는 20사단장 박준병, 1공수여단장 박희도, 3공수여단장 최세창, 5공수여단장 장기오도 포함됐다.
12월12일 오후, 허삼수·우경윤 등 보안사 수사관과 수도경비사령부 33헌병대 병력 50명은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에 난입했다. 경비원들에게 총을 쏘며 공관에 들어선 이들은 정승화를 보안사 서빙고 분실로 끌고갔다. 전두환은 정승화 총장의 연행에 저항할지도 모른다고 판단, 특전사령관 정병주, 수경사령관 장태완, 육군본부 헌병감 김진기 등에 미리 손을 쓰는 치밀함을 보였다.
특히 1212사태 당시 전두환은 최규하 대통령의 재가 없이 독단적으로 군사반란을 일으켰다. 전두환 등 신군부세력은 최종적으로 최규하를 압박, 총장연행 재가를 받아내는 데 성공했다. 현직 대통령을 협박하는 대담함을 보여준 신군부세력 주요 인사들은 이후 제 5공화국 요직을 차지했다.
한편 정승화는 신군부세력에 의해 이등병 신분으로 강제 예편됐다가 문민정부가 1212사태를 쿠데타라고 규정하면서 뒤늦게 무죄판결을 받았다. 2002년 세상을 떠난 고인은 대전현충원에 잠들어 있다.
[뉴스핌 Newspim] 정상호 기자 (uma8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