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검색에서 결제로 이어지는 쇼핑 경험 강조
카카오, 교통 인프라 연계 생활형 O2O플랫폼 구축
[뉴스핌=이수경 기자] 최근 카카오와 네이버가 광고주 및 중소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대규모 컨퍼런스를 통해 2017년 플랫폼 전략을 공개했다. 카카오는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가 주축이 된 O2O 플랫폼화(化)를 선언했다. 네이버는 검색 역량에 방점을 두고 콘텐츠, 트랜젝션(고객전환), 광고를 아우르는 기술 플랫폼으로의 변화를 예고했다.
◆네이버, 검색을 통한 수요-공급 연결..O2O도 포용
검색은 자신의 니즈(needs)를 표현하는 행위다. 즉 검색어를 안다는 건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있다는 의미다. 네이버가 가장 자신있어 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2015년을 기점으로 쇼핑 검색이 결제까지 끊김 없이 이어지는 쇼핑 플랫폼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중소상공인들을 위한 무료 상품 판매 플랫폼 '스토어팜', 백화점, 소호몰 등 오프라인 상점이 입점하는 '쇼핑윈도'를 연달아 오픈했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돕는 채팅, 결제, 예약 등 다양한 기능도 추가했다. 판매자와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가벼운 채팅 기능인 '네이버톡톡'과 간편한 결제를 돕는 '네이버페이'가 대표적이다.
2016년은 온·오프라인을을 아우르는 생활 쇼핑 영역을 확대해나가는 한 해였다. '정보검색→예약→결제(네이버페이)→매장 찾아가기(지도+내비게이션)'이라는 과정을 검색창으로 묶고 사용자와 매장을 모두 네이버로 포용하겠다는 의미가 강했다.
또한 네이버는 카카오보다 1년 앞서 O2O 시장을 '플랫폼' 관점에서 바라봤다. O2O 사업에 직접 뛰어들지 않는 대신, 다른 O2O 사업자들과 제휴를 늘리는 동시에 중소상공인들이 직접 자신의 비즈니스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했다.
비즈니스 정보 관리 도구인 '마이비즈니스'를 통해 등록된 지역 정보는 '플레이스'에 한데 모여 표시됐다. 앤스페이스, 야놀자, 여기어때 등 제휴업체 정보도 흡수하면서 빠르게 로컬 커버리지를 넓혀나가고 있다. 네이버는 이를 '먹고∙자고∙놀고∙꾸미고'로 구분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수요와 공급을 연결하는 차원에서 봤을 때 O2O 영역을 따로 구분하는 것은 사실상 큰 의미가 없다"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검색 맥락에 적합한 최적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네이버가 강조하는 가치"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올해까지 플랫폼 락인(Lock in)을 위한 다양한 기능에 집중했다면 내년부터는 차세대 기술을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개발자회의인 데뷰에서 AI 기반 대화 시스템 '아미카', 자율주행 기술, 통번역 앱 '파파고' 등을 소개한 바 있다. 이를 활용해 개인의 창업을 돕고 글로벌에서 통하는 콘텐츠 생태계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네이버 차기 대표이사로 내정된 한성숙 서비스총괄 부사장은 "로봇 기술을 일상에 선보인 것은 휴머노이드가 아닌 로봇청소기였던 것처럼 네이버가 추구하는 것도 첨단기술을 일상으로 끌어들여 대중화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차세대 첨단 기술을 광고주나 소상공인, 콘텐츠 창작자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설명이다.
◆카카오, 이동 맥락에서 가치 찾는다..O2O 플랫폼 개방 선언
카카오가 O2O 영역에 발을 들인 건 카카오와 다음의 인수합병이 있었던 2년 전부터다. 카카오는 당시 전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킨 '온디멘드 이코노미'에서 힌트를 얻고,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맞닿은 서비스와 사람을 연결하는 데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네이버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검색을 앞세우는 대신, 가장 잘 놀 수 있는 '모바일'에서 새 판을 짜기 시작했다.
카카오는 O2O 첫 공략 대상으로 '수송'을 노렸다. 실제로 카카오가 오랜 시간 진득하게 투자해온 곳도 바로 교통 인프라이기도 하다. 기존 사업자 지분 인수에만 최소 840억원을 투자하기도 했다. 이들 서비스는 올해 초부터 연달아 '카카오-'라는 브랜드명으로 순차적으로 개편되거나 새롭게 출시됐다.
'카카오택시'와 '카카오드라이버'를 통해 서비스 수요자와 공급자를 효과적으로 매칭하는 데 주력했다. 그 결과 '콜택시=카카오택시', '대리운전=카카오드라이버'라고 직결되는 이미지 구축에도 일정 수준 이상 성공했다. 현재 각각 전국 택시기사, 대리기사의 90%, 80%가 카카오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이다.
반면 카카오는 생활 O2O 영역에서는 이러다 할 큰 재미를 보지 못했다. 해당 산업 종사자와의 갈등으로 '카카오클린홈(가사도우미)'는 막바지에 이르러 결국 출시가 중단됐다. 기존 대형 플레이어과 이견을 조율하는 데 있어서 카카오가 플랫폼 사업자로서 리더십을 발휘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마찬가지로 '카카오오더(커피선주문)', 타임쿠폰(할인쿠폰발급)'도 빛을 보지 못하고 사라졌다.
사업이 안정적인 궤도에 오르기까지 걸리고 오프라인 사업을 직접 총괄하는 데도 큰 부담으로 작용했을 거라는 분석이 많았다. 이에 임지훈 카카오 대표는 "카카오가 모든 O2O 서비스를 직접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면서 "게임 플랫폼처럼 O2O 사업도 카카오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을 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카카오는 스마트 모빌리티와 O2O 플랫폼이라는 투트랙 전략으로 2017년에는 스마트 모바일 라이프 플랫폼을 공고히 하는 데 주력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O2O 플랫폼에서 강조한 부분은 정산/결제, 연결, 탐색이다.
정주환 부사장은 "개별 스타트업들이 어려움을 호소하는 부분은 B2B(기업 간 거래) 시스템, 전국 단위로의 홍보 채널의 부재, 다른 서비스와의 연결성 결여였다"며 "카카오는 이들 서비스가 더 쉽게 발견되고 연결될 수 있도록, 사람들은 생활 속 불편함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방형 플랫폼으로 나아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플랫폼 사업자인 카카오는 상품 카테고리의 확대 효과를 거두고 O2O 사업자는 카카오를 활용해 고객 접점 영역을 늘리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휴사 중 일부는 카카오헤어샵(하시스), 카카오파킹(파킹스퀘어), 배달(미정, 씨엔티테크)처럼 전략적 투자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뉴스핌 Newspim] 이수경 기자 (sophi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