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장주연 기자] 잘나가는 대기업 과장 중필(신하균), 사회 정의를 외치는 수탁(박희순), 방송국 간판 아나운서 은동(오만석). 겉으론 그럴듯해 보이지만, 알고 보면 이들은 ‘빛 좋은 개살구’다. 실상은 희망퇴직자 명단에 올랐거나, 13년째 이어진 사법고시로 자살을 결심하거나, 그것도 아니라면 건강 문제로 퇴직을 앞둔 간암 환자이기에. 이처럼 저마다 아픔과 고민을 안고 있는 세 친구는 대학선배의 부친 부고에 오랜만에 재회, 목적지인 제주도로 향한다. 하지만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모든 계획은 산산조각이 나버린다.
영화 ‘올레’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아재’들의 애환(?)을 담은 작품이다. 사회가 요구하는 것들로 지친 사람들의 이야기에 낯선 곳에서의 일탈로 보편적 가치를 깨닫는다는 주제를 얹었다.
새로울 것 없는 전형적인 구성에도 ‘올레’가 흥미를 유발하는 건 그런 익숙한 것들을 겉멋 부리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여줬다기 때문이다. 중필, 수탁, 은동 세 남자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인생의 잡음들은 뭐 하나 걸러지는 법이 없다. 당연히 그 과정에서 등장하는 대화는 욕설이 난무하고 행동은 유치하기 짝이 없다. 뭐랄까. 기발한 상상력을 덤으로 주는 영화는 아니지만, 공감지수는 높다.
특히 타깃인 중장년층 남성 관객에게는 제 이야기처럼 다가올 수밖에 없다. 다만 같은 이유에서 여성 관객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젊은 여자를 칭하는 표현이나 오매불망 여자 꾀기에만 혈안이 된 남자들의 세계를 보는 것이 마냥 즐거울 리 만무하다.
그렇다고 돌파구가 없는 건 아니다. ‘올레’에도 남녀를 불문하고 모든 관객을 객석에 붙잡아 놓는 힘이 있다. 바로 세 아재 신하균, 박희순, 오만석의 케미스트리다. 이들 세 배우는 대학 동창으로 연기를 주고받는데 그 앙상블을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일상에서는 짠내 가득하고 여자 앞에서는 숙맥인 신하균이나 장난기 가득하면서도 부드러운 오만석은 뜻밖에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최고는 박희순이다. 헤어스타일부터 말투까지, 그간의 카리스마는 모두 버린 박희순의 열연은 압권이다. 그는 극 초반 관객을 스크린으로 끌어들이기부터 ‘올레’ 속 유머를 단단히 다지기까지 맡은 바를 제대로 해냈다. 영화의 성패에 상관없이 두고두고 회자될 만하다.
덧붙이자면, 이 영화의 제목인 ‘올레’는 골목길이란 뜻의 제주 방언이다. 그리고 또 다르게는 ‘좋아’ ‘잘한다’는 뜻의 감탄사로 쓰인다. 영화의 의도는 여기에 모두 담겼다. 채두병 감독은 “길은 막힌 곳이 없다. 설사 막혔다고 해도 주변을 보면 샛길이 있다. 그 길은 나를 어디로든 데려가 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보통 극장에선 영웅을 본다. 그런데 우리도 영웅 못지않게 괜찮다. ‘올레’라는 거울에 비친 우리의 모습이 결코 나쁘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았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25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뉴스핌 Newspim] 장주연 기자 (jjy333jjy@newspim.com)·사진=대명문화공장 리틀빅픽처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