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앞다퉈 모바일플랫폼 강화…인터넷전문은행 견제
[뉴스핌=김연순 기자]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자인 케이(K)뱅크와 카카오뱅크가 올해 하반기 본인가를 신청하고 구체적인 은행 설립에 대한 로드맵을 발표했다.
금융당국은 신용정보망 사전 연계 등을 통해 인터넷전문은행이 본인가 이후 조기에 영업을 개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는 방침이어서 인터넷전문은행 출범은 사실상 초읽기에 돌입했다. 인터넷전문은행 출범에 맞서 시중은행들은 모바일플랫폼을 강화하면서 인터넷전문은행-모바일은행 간 경쟁구도는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인터넷전문은행 사업모델 예시. <출처:금융위원회> |
6일 금융당국 및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금융위원회가 개최한 인터넷전문은행 현장간담회에서 K뱅크와 카카오뱅크는 각각 올해 8~9월, 11월~12월 본인가 신청을 목표로 은행 설립 작업을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동시에 이들 예비인가자들은 빅데이터 기반 중금리대출 등 인터넷전문은행의 다양한 혁신 사업모델을 소개했다.
계좌개설, 송금‧결제, 대출, 예금 이자, 자산관리 자문 등 현재 준비중인 다양한 온라인 금융서비스가 포함됐다.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가 구체적인 은행 설립 계획과 사업모델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융당국 역시 인터넷전문은행이 한국신용정보원과 대부업권 신용정보를 공유하고, 인터넷전문은행 출범 이전 전산시스템을 사전 테스트해 신속한 출범을 돕겠다는 계획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신용정보원 보유 대부업권 신용정보를 인터넷전문은행과도 공유함으로써 시장에서 중금리대출을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플레이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사실상 인터넷전문은행 출범이 초읽기에 돌입하면서 시중은행들 역시 모바일은행 등을 통한 모바일 플랫폼을 강화하고 있다. 모바일은행을 인터넷전문은행 대항마로 키우겠다는 전략으로 향후 급성장이 예상되는 온라인시장에서 고객 유치 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은행 위비뱅크, 신한은행 써니뱅크에 이어 KB국민은행는 최근 모바일뱅크인 리브(Liiv)를 출시하며 모바일전문은행 대열에 합류했다.
우리은행의 위비뱅크는 펀(FUN·재미) 기능을 강조한 종합금융플랫폼으로 6월 말 현재 가입자 70만명을 넘어섰다. 최근엔 모바일플랫폼 사업 강화를 위해 플랫폼사업부와 빅데이터 추진팀을 신설하는 등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플랫폼사업부는 우리은행의 모바일뱅킹인 '위비뱅크'와 모바일 메신저 '위비톡' 등의 모바일플랫폼 구축과 운영을 담당하게 된다
신한은행의 써니뱅크는 환전앱과 자동차대출(써니 마이카대출)을 중심으로 금융특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현재 환전 이용 고객만 55만명을 넘어섰고 마이카대출 취급액은 2조4000억원에 달하는 등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국민은행도 최근 모바일뱅크인 리브(Liiv)를 출시하며 온라인·모바일 서비스를 강화했다. 국민은행의 리브는 일정관리와 경조사비용 송금, 환전, 모바일상품권 선물, 교통카드 충전,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상품구매 등을 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표방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IBK기업은행도 올해 초 아이원뱅크(i-one뱅크) 전담팀을 꾸려 서비스 개선 작업에 착수했고, KEB하나은행도 지난 5월 중국 내 외국계 은행으로는 처음으로 모바일뱅크(원큐뱅크)를 내놓고 리테일 시장을 공략 중이다. NH농협은행도 조만간 모바일뱅크를 선보일 예정이다.
금융권에선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이 각각의 경험과 전문성을 살린 수익모델을 어떻게 정착시키느냐가 향후 경쟁구도의 주요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정호 금융연구원 은행·보험연구실장은 "인터넷전문은행은 비용-효율성 측면과 정보통신기술(ICT)기업의 DNA를 금융산업에 접목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금융서비스를 풀뱅킹한 경험이 적다"면서 "이에 비해 은행들은 자산관리 등 다양한 비즈니스를 오래 해왔기 때문에 기존의 많은 서비스를 어떤 식으로 다양한 상품으로 모바일화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뉴스핌 Newspim] 김연순 기자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