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이내 가시화..문제는 정서적 장벽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월가 투자은행(IB) 업계를 침투하기 시작한 인공지능(AI)이 가까운 장래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넘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미 통화정책 방향과 적정 기준금리를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사실상 갖춰졌고, 가장 커다란 걸림돌은 정서적 장벽이라는 것이 업계의 얘기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 <출처=블룸버그> |
24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앞으로 5년 이내에 AI가 연준 정책자들의 자리를 꿰차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전산 시스템을 통해 고용 지표부터 인플레이션, GDP 성장률 등 크고 작은 경제 지표를 분석, 최선의 정책 금리 수준을 결정하는 시대가 열리 것이라는 얘기다.
연준 정책자들의 ‘입’에 투자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주가가 오르락내리락하는 기존의 상황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상황이 전개될 가능성이 이미 갖춰졌다는 것.
앤드류 로 MIT(메사추세츠 공과대학) 금융 엔지니어링 연구소 이사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가능성은 이미 열렸다”며 “가장 커다란 문제는 정책자들이 이 같은 IT 시스템에 마음을 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전했다.
반면 금융업계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내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AI를 이용할 경우 통화정책 결정의 근간이 되는 경제 펀더멘털의 전망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폴 로빈슨 영란은행(BOE) 어드밴스드 애널리틱스 팀 헤드는 “앞으로 5년 안에는 반드시 이 같은 시스템이 갖춰질 것”이라며 “다만 AI 시스템은 정책자들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보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앙은행의 가장 근본적인 역할은 단기 여신 금리를 통제해 실물경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데 있다.
하지만 정책 금리 변경에 따른 영향이 가시화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올바른 정책 결정을 내리는 데 향후 6~12개월 이후 경기 상황을 정확히 예측하는 일이 관건이다.
GDP 성장률을 포함한 경제 지표에 대한 월가 이코노미스트와 정책자들의 전망은 갈수록 빗나가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다.
중국발 혼란과 마이너스 금리 정책 등 예상 밖의 변수들이 불거지는 데다 자산시장의 방향 역시 널뛰기를 연출한 데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AI는 경제 지표 예측은 물론이고 지표 간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데도 효과적일 것으로 투자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반면 연준 관계자들은 회의적인 반응이다. 데이비드 윌콕스 연준 리서치 및 통계팀 이사는 “컴퓨터 시스템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없는 불확실성의 영역이 작지 않다”며 “최선의 방법은 시스템과 인간의 판단을 접목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마이클 컨스 펜실베니아 대학 컴퓨터공학 교수는 “시스템이 대체할 수 없는 인간의 판단 영역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라며 “인간의 경험이란 결국 데이터에 지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