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금리인상·구조조정 등 이유... "단기물 선호 계속될 것"
[편집자] 이 기사는 05월 24일 오후 3시47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백진규 기자] “일단 (만기가) 길면 불안하다.”
올해 회사채 시장의 분위기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말이다. 신용등급에 관계 없이 만기 3년 이하 단기물은 오버부킹될 정도로 수요가 많으나, 5년 이상 장기물은 미달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장기물은 금리 하락 기대로 인기를 누렸지만 올들어 미국 금리인상, 한계기업 구조조정 등 이슈로 분위기가 바뀌었다.
회사채 발행 전 실시하는 기관투자자 대상의 수요예측을 보면 장단기물 수요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지난달에 진행한 롯데케미칼(AA+)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2년물에 2100억원, 3년물에 3400억원의 수요가 몰렸다. 각각 2.1 대 1, 1.7 대 1의 경쟁률이었다. 반면 5년물과 10년물은 0.8 대 1, 0.6 대 1로 미매각이 발생했다.
같은 달 수요예측을 실시한 카카오(AA-) 회사채 역시 3년물 1300억원에는 2배 가량인 2500억원이 몰렸다. 하지만 5년물 700억원에는 600억원만 들어와 일부 미매각됐다.
한화케미칼(A+) 또한 수요예측에서 3년물 500억원에 560억원이 모집된 반면 5년물 500억원에는 370억원의 자금만 들어왔다.
NS쇼핑, 현대증권, 대웅제약 등이 발행한 회사채에도 만기 3년 이하 단기물로만 자금이 유입됐다.
단기채 선호 현상은 발행시장을 넘어 유통시장에서도 드러난다. 나이스피엔아이에 따르면 4월 회사채 총거래량에서 1년 이하 단기물 거래 비중은 전월대비 2.6%p 증가했다. 반면, 3년 초과 장기물 거래는 전월대비 7.0%포인트나 감소했다. 1분기 총거래량 중 1년 이하 단기물 거래량이 32.3%로 가장 많았고 전 분기 대비 2.8%p 증가했다.
◆ 구조조정, 변동성 이슈로 장기채는 불안하다
전문가들은 최근 단기채 선호 현상에 대해 구조조정 등 변동성 이슈와 금리 불안정성이 원인이라고 지목했다.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24일 “최근 구조조정 이슈가 불거진 것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인다”면서 “회사채는 특성상 유동성이 떨어지는 만큼 경기 변동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5년, 10년 후의 경기 상황을 예측하기가 어려운 만큼 당장의 신용등급이 높다고 해서 장기물을 담는 시대는 지났다”고 분석했다.
유안타증권 관계자는 “단기채 선호에는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당분간 저금리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 기업들이 우선 단기물로 급한 자금만 조달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5년 이상 장기물이 시장에서 이런 취급을 당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금리가 낮아졌을 때 장기채 선호도가 커지기 때문이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2012년 3%였던 기준금리가 작년 1.5%까지 낮아졌고, 이 기간 동안 회사채 시장에서 장기물 선호 현상이 나타났다”며 “하지만 지금은 미 연준의 금리인상과 한은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부딪치면서 금리 방향성에 대해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분간 2년물 이하 회사채 발행도 꾸준히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단기물 선호 현상이 더 심해질 거라는 얘기다.
[뉴스핌 Newspim] 백진규 기자 (bjgchina@newspim.com)